100명 중 1명 꼴… 5년간 연평균 8.1% 증가
여성과 고령일수록 많아… 환절기에 급증

환절기에 자고나도 피곤하다면, 당신은 ‘수면장애’ 질환을 앓고 있을 확률이 높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진료자료를 활용해 최근 5년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가 수면장애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현황을 분석해 발표했다. 분석 결과, 건강보험에 가입한 국민 중 약 1.1%는 수면장애를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수면장애 진료 환자는 전국에 약 57만명이었다. 지난 2014년부터 연령대와 비례해 환자 수가 증가했고,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1.4배 많았다.

수면장애는 건강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거나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있음에도 낮 동안에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상태거나 또는 수면리듬이 흐트러져 있어 잠자거나 깨어 있을 때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말한다. 수면장애의 종류로는 불면장애가 가장 대표적이다. 잠에 들기 힘들다거나, 자다가 자주 깨거나, 한번 깨면 다시 잠들기 힘들거나, 자도 개운하지 않다고 느끼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과다수면장애의 경우 야간 수면시간이나 낮잠이 길어도 개운하지 않은 특징이 있다. 이 외에도 ‘기면증’, ‘하지불안증후군’,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등이 있다. 원인은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 다양한 정신과적 불편에서 나타날 수 있다. 이를 방치할 경우 수면습관이 굳어지면서 불면증을 지속시키게 된다.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전문 의사의 문진이 필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수면장애 환자는 지난 2014년 기준 42만명에서 2015년 46만명, 2016년 50만명, 2017년 52만명, 2018년 57만명으로 연평균 8.1%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70세 이상이 수면장애로 가장 가장 많이 병·의원을 찾았다.

그러나 성과 연령대를 같이 고려하면 60대 전체와 20∼30대 남성 환자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이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박선영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일반적으로 불면은 불안과 연관이 있다. 불안한 경험을 한 후에 혹은 불안이 예상되는 상황을 앞두고 악화된다”며 “최근 2030대에서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20대 남성환자의 우울증 빈도가 높아지는 것을 고려할 때, 2030대 남자의 불면이 증가하는 원인을 이에서 유추해볼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겨울과 겨울 전후의 환절기(3월과 10월)에 수면장애 환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이번 분석 결과에서 나타났다. 이는 겨울철 일조량이 줄어들면서 낮시간 졸음이 길어지는 것이 야간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추운 날씨에 실내생활이 길어지는 것도 수면장애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수면장애 치료는 크게 약물과 비약물로 나뉜다. 치료의 한 방법으로 야간수면다원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수면의 양과 질, 수면장애의 다양한 증상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들이 갖춰진 수면검사실에서 실제로 자면서, 수면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불면의 양상, 호흡관련 수면장애, 사건수면(하지불안증후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수면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기 △새벽에 깨서 시계를 보지 않기 △술·담배를 피하기 △잠에 들기 전 운동 금지 △수면에 알맞는 환경, 온도 조성하기 등을 조언한다. /이바름기자

    이바름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