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거지는 표기 방법부터 헷갈릴 때가 많다. ‘설거지’가 맞는지 ‘설겆이’가 맞는지 아리송하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음식을 먹고 난 뒤의 그릇을 씻어 정리하는 일로 ‘설거지’라 표기하고 있다.

설거지의 어원은 ‘설겆다’ 라는 동사에서 나온 것이지만 설거지로 표현한다고 한다. 1988년 이전까지는 설겆이가 표준어였다.

우리의 전통적 관습으로 볼 때 설거지는 아랫사람이 맡아 하는 일이다. 남성보다는 여성이 맡기에 적합하다. 빨래 빨기와 비슷하다. 이런 이미지 때문에 설거지는 여성이 하는 험한 일로 여겨져 왔다. 사회 관습적 용어에서도 “설거지 한다”는 말은 아랫사람이 나서서 수습한다는 말로도 통용된다. 군 생활과 같이 단체가 생활할 때는 반드시 식기를 치우는 설거지 당번을 별도로 정하는데, 이도 하찮은 일로서 서로 기피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추석 명절날 돌아오는 설거지는 항상 개운치 않은 뒷맛을 많이 남겼다. 전통적 유교방식에 의해 지내는 명절문화 속에 설거지는 늘 며느리의 몫이었기 때문이다. 남의 집 제사에 며느리가 왜 이런 덤터기를 써야 하는지 그녀들의 불만이 명절의 뒤끝을 늘 씁쓸하게 해주었다. 명절 후유증의 하나다.

경북도가 “명절 설거지는 남자가”라는 릴레이 캠페인을 벌였다.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제안으로 시작된 설거지 릴레이 캠페인은 이강덕 포항시장, 윤종진 경북도 부지사, 이상길 대구시 부시장 등으로 이어지면서 1천여명에게 전파되었다고 한다.

설거지가 여성의 전유물이라는 편견을 버리고 가족 공동체가 함께하는 일이라는 인식을 심기 위한 의도다. 이 지사는 “남자의 설거지가 비록 작은 일에 불과하지만 세상을 바꾸는 작은 변화의 시작”이라는 의미를 달았다. 세상은 바뀌어 가고 있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