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지역의 출산 인프라 붕괴가 심각하다. 아예 의료사각지대라 해도 틀리지 않는다. 어제오늘의 일도 아니지만 갈수록 빨라지는 출산 인프라 붕괴에 대해 정부나 자치단체의 대응은 느림보다.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서울 등과 같은 대도시 지역의 구(區)지역을 뺀 농촌지역 시군 157곳 가운데 분만 시설이 없는 곳이 71군데(45%)나 된다. 경북지역이 그 중 12군데로 가장 많다. 분만 시설이 없는 전국 농어촌 가운데 30군데는 차로 1시간 정도 이동해야 분만 가능한 산부인과 병원을 찾을 수 있다. 경북 봉화군의 경우는 분만 가능한 산부인과가 없어진지가 20년이 넘었다. 이곳의 임산부들은 안동이나 영주 심지어 강원도 태백시나 강릉시까지 가서 아기를 낳는다고 한다.

수요가 없는 곳에 공급이 따르지 않는 것은 당연한 시장 원리라 하지만 출산의 문제를 수요공급의 논리로 따질 일은 아니다. 학교급식을 학생 수가 적다고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처럼 출산 인프라 부족의 문제도 복지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특히 출산율이 낮은 농촌지역으로서는 이것이 저출산율 대응에도 효과적일 수 있는 것이다.

출산 인프라 부족으로 받는 농어촌 지역민의 불편은 아예 스트레스다. 젊은층일수록 그 충격은 심하다. 출산 인프라의 불편을 해소할 강력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경북은 출산과 육아분야에서는 전국에서 가장 취약한 지역으로 알려졌다. 산부인과뿐만 아니라 중증질환 등 응급상황에 대처하는 인프라도 전국 하위권이다. 경북도가 저출생 대응팀을 꾸려 TF팀을 운영하고 있다지만 이 정도 수준으로는 ‘언 발에 오줌 누는 격’에 불과하다.

경북은 잘 알다시피 저출산과 노령화가 전국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곳이다. 이럴수록 이에 대한 대응은 더 과감하고 빠르게 진행돼야 한다. 경북도내 23개 시군 가운데 분만 산부인과가 있는 곳은 10개 시군 24곳뿐이다. 임산부가 선호하는 산후조리원도 5군데 시에만 집중돼 있다. 경북 산모들의 원정출산 사례가 전국에서 가장 많다고 한다. 출산 인프라 확보에 더 많은 투자와 관심만이 이런 문제를 풀 수 있다. 지자체만의 힘으로 될 일도 아니다. 저출산 극복을 국정 목표로 세운 정부가 우선으로 투자할 분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