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올드보이’에서 15년 동안 밀폐 공간에 갇혀 있던 최민식은 끝없이 묻습니다. “누가 나를 가둔 것일까? 유응삼? 이소영의 정부? 강창석? 김사송?” 유지태는 말합니다. “당신의 진짜 실수는 대답을 못 찾은 게 아니야. 틀린 질문만 하니까 맞는 대답이 나올 리가 없잖아?”

“점심은 뭘 먹을까? 내일 누구를 만나야 하지? 아이 학원은 어디로 보내야 할까?” 생각은 답을 찾는 과정입니다. 사람들은 오대수처럼 질문 자체가 맞는지, 틀렸는지 고민하지 않습니다. 답만 추구하니 틀에 박힌 결과만 경험합니다.

질문이 변하면 생각이 확 달라집니다. 알파고와 바둑 두던 이세돌을 기억하십니까? 이긴 쪽 우승 상금은 100만달러. 행사비용은 100만 달러. 모두 200만 달러(22억원)를 들인 행사였습니다. 구글은 이렇게 질문합니다. “사람들 머리 속에 인공지능 AI의 발전에 대해 어떤 이미지를 남길 것인가?”

인공지능, AI라는 난해한 개념을 한순간에 사람들에게 각인시킬 수는 없을까? 생각을 거듭합니다. 제대로 질문하자 찾아온 답은 놀라웠습니다. ‘인간과 인공지능의 바둑 승부’ 전 세계가 주목할 것은 뻔합니다.

대국은 모두 다섯 판이 벌어집니다. 이 다섯 번의 바둑 시합이 벌어지는 일주일 동안 구글의 시가 총액은 무려 58조 원이나 상승합니다. 하루에 10조 원 이상 돈을 쓸어 담은 겁니다. 22억 원 투자 후 58조 원 거두기. 구글은 너무도 선명하게 인공지능 분야 미래를 전 세계에 보여줬고, 사람들 머릿속에 남은 인상은 쉽게 지워지지 않습니다.

질문이 바뀌면 생각의 틀이 확 바뀝니다.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습관적으로 질문하던 틀을 깨 보는 9월을 맞이하고 싶습니다. 질문을 의심치 않고 답만 찾으려 애쓰던 구습을 깨고 질문이 온당한가, 전제의 오류는 없는가를 깊이 숙고하는 멋진 가을 맞으시길!

/조신영 인문고전독서포럼대표

    조신영 인문고전독서포럼대표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