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배제한 수출무역관리령을 발효한 지 이틀이 지났다. 이미 예상한 일이라지만 기업한테 다가오는 경제적 압박감은 그 강도가 날로 커지는 느낌이다. 일본의 소재 수입절차가 까다로워지면 정상적 생산이 어려울 것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 지역의 기업도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재고 물량이 소진되는 날이면 생산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한다.

정부 차원의 대책이 이어지고 있다고는 하나 당장 해결될 일이 아니고 대부분이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정부의 관계 장관회의에서 논의된 핵심품목 소재에 대한 R&D 투자 지원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장차 지속적 투자와 노력으로 현재의 문제를 극복하자는 것이다.

경북도와 대구시 등 지역에서도 대응책 마련을 위한 대책회의가 연일 열리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당장의 해결책이라기보다 정부 정책에 보조를 맞추고 지역의 실상을 제대로 알리는 역할적 측면이 크다. 그러나 단기적 효과가 없다고 마냥 손을 놓고 있을 수는 없다. 기업의 경영안정 자금 등은 유효할 수 있는 조치 중 하나다. 기업의 갈증을 해소할 섬세한 대응책으로 문제를 하나하나 풀어가야겠다. 특히 지금의 사태가 장기화할 것에 대비, 그에 상응하는 조치도 체계적으로 이어가야 한다.

일본의 2차 수출규제는 식품과 목재를 제외한 대다수 품목을 포괄허가제에서 개별허가제로 바꾼 것이다. 일본산 소재·부품을 사용하는 기업의 불편은 물어 보나마나다.

경북에도 지난해 기준으로 대일 수입액은 22억 달러나 된다. 전체 수입액의 15%다. 기계철강, 화학분야 품목이 대부분이며 도내업체 중 1천601개사가 일본에서 물품을 수입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대구상공회의소 조사에 따르면 대구 기업 16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일본의 조치가 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한 이가 전체의 45.2%다. 지역기업이 받을 시련이 예상 외로 클 수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당국의 대책이 좀 더 치밀하고 장기적으로 펼쳐져야 효과를 낼 수 있다. 정부도 2022년까지 5조원을 투입, 소재·장비산업을 육성한다고 했다. 위기는 기회를 병행한다. 이번의 일본의 경제 보복을 계기로 소재·부품 중심의 대구경북이 분발하여 전화위복의 기회를 삼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