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형시인·산자연중학교 교감
이주형 시인·산자연중학교 교감

아침저녁으로 바람이 바뀌었다. 자연은 철이 바뀌기 전 중간지대를 운영 중이다. 급속한 변화에서 오는 혼돈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연의 배려에 작렬하던 여름 태양도 가을로의 자리 넘김을 준비하고 있다. 철 바뀜은 자연의 소리에서 확실히 알 수 있다. 매미 소리로 가득하던 여름 공간에 알락귀뚜라미, 넓은날개철써기 등 가을 곤충들이 소리로 가을을 짓기 시작했다.

비록 자연은 변하지만, 필자는 매주 일요일 오후 6시면 출근한다. 왜냐하면 기숙사 학교인 산자연중학교 학생들이 일요일 저녁에 귀교하기 때문이다. 산자연중학교는 네온사인 하나 없는 전형적인 면단위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밤이면 간헐적으로 의무를 다하는 개짓는 소리만 들릴 뿐이다. 이런 시골 마을이 일요일 저녁이면 길게 늘어 선 차들로 분주해진다. 차들은 서울, 경기, 전북 등 전국에서 학생들을 등교시키기 위해 학부모들이 운전해 온 차들이다. 산자연중학교는 전국단위 모집 학교이다. 지금 재학생들은 전국 10개 시도에 주소지를 두고 있다.

학생들은 매주 금요일 오후에 귀가를 해서 일요일 저녁에 귀교를 한다. 귀교 방법은 대중교통, 개인차량 등 다양하다. 개인차량을 이용하는 학생들은 19시에서 20시 사이에 집중해서 학교로 온다. 필자는 좁은 시골 길에 자칫 있을 교통 혼잡을 예방하기 위해 매주 일요일 19시부터 학교 앞 도로를 지킨다.

이번 2학기에는 5명의 학생이 서울, 전북 등지에서 전학을 왔다. 좀 더 많은 학생들이 전학을 희망했지만, 학비 부담 등의 이유로 전학을 포기했다. 그래도 이번 전학생들은 학교와 마을 측면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한때 농산어촌 학생의 성공 기준은 공부를 열심히 해서 마을을 떠나 대도시로 가는 것이었다. 그래서 농산어촌 지역의 학생들은 마을을 떠나기 위해 밤을 낮처럼 공부 하였다. 부모들은 그런 자녀들의 모습을 보면서 몸이 부셔지도록 일을 했다. 결국 많은 학생들이 공부와는 상관없이 그렇게 고향을 떠났다. 필자는 고향을 떠난 이들이 자녀교육을 고향 학교에서 시키면 어떨까하는 생각을 늘 하고 있었다. 그리고 자녀뿐만 아니라 이촌(離村) 한 사람들까지 고향으로 돌아오는 상상을 해보았다. 만약 이런 상상이 현실이 된다면 분명 지금과 같은 마을 소멸 현상은 없을 것이다. 필자의 상상 중 전자가 이번에 이루어졌다. 출향민(出鄕民)의 손주가 서울에서 이곳 영천으로 전학을 왔다. 전학 이유는 본교에서는 실시하고 있는 1인3기 교육, 몽골 해외이동수업 등과 같은 특성화 교육과 본교 특색 프로그램인 마을학교 수업을 받기 위해서이다.

2015년부터 시작한 마을학교는 이름 그대로 마을이 학교가 되고, 학교가 마을이 되는 공동체 회복 교육 프로그램이다. 대표 활동으로는 학급 인성 전담 교사로 초빙된 마을 어르신들께서 매주 목요일 아침에 수업을 하시는 ‘인성전담 마을교사’ 제도이다.

인구 절벽을 자초한 것도 교육이지만, 필자는 인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도 교육이라고 믿는다. 올해는 비록 한 명의 손주가 전학을 왔지만, 몇 년 안에 이촌 한 사람들이 가족들과 함께 고향으로 되돌아오리라고 필자는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