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의 공공건축 정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3월 이낙연 국무총리가 영주 삼각지마을을 방문해 영주시 공공건축 정책의 성공을 격려했다. 삼각지마을은 영주 도심에 있으면서도 시내를 가로지르는 철도에 둘러싸여 내륙의 섬으로 고립된 곳이다. 영주시의 노력으로 이곳은 공공건축 중심의 도시재생에 성공했다. 특히 이곳에 신축한 노인복지회관은 제11회 대한민국 공공건축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노인복지관이 복지시설 이상의 의미와 도시재생 거점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준 탁월한 사례로 평가받았다.

도시재생 사업의 성공은 쉽지 않다. 특히 공공부문일수록 더 어렵다. 관행적 관습과 공공건축이라는 선입견으로 획기적 아이디어를 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반면 공공건축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진다. 이런 점에서 영주의 공공건축 정책 성공은 충분히 칭찬받을 만하다.

일반적으로 이 제도는 2012년 서울시가 가장 먼저 도입한 것으로 안다. 사실 영주시는 이 보다 3년 먼저 도입했다. 삼각지마을이 공공건축으로 성공한 배경에는 공공건축가 제도의 지속적 추진에 있다. 공공건축가 제도는 공공 건축물과 도시정비사업을 하면서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부터 건축전문가를 투입, 건축물의 공공성을 높이고 도시경관에 맞는 건축문화를 이끄는 데 목적이 있다. 선진국에선 이미 보편화된 제도다.

영주에 이어 대구경북지역에서도 자치단체들이 공공건축가 제도 도입을 서둘고 있다고 한다. 제도 도입으로 도시재생과 도시 디자인에 긍정적 변화가 기대되는 일이다. 특히 경북도가 전국 최정상급 건축 전문가를 영입, 공공건축과 신도시 건축 코디네이터로 활용한다는 점, 기대해 볼만하다. 대구에서도 수성구가 제도를 도입했다고 하니 늦은 감은 있으나 도시 디자인 혁신에 대한 기대를 준다. 공공건축 사업은 도시 디자인 혁신은 물론 주민의 삶을 풍족케하는 복지성격을 담았다는 점에서 성공 달성이 중요하다. 총리의 영주 방문도 도시재생의 성공을 전국적으로 확산하려는 의도다. 서울 등 일부에선 공공건축가 제도가 건축 심의용이란 비판도 있다. 하지만 공공건축 정책은 도시민과 도시 미래를 위한 획기적 조치란 사실을 우리 모두 공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