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의 야경.

푸레이(傅雷)는 1908년 상하이에서 태어났다.

프랑스 유학 후 대학에서 미술사와 프랑스어를 강의했다. 이러한 푸레이는 부인과 함께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길지 않은 그의 유서에는 그가 자살한 이유와 함께 자잘한 당부가 담겨 있다.

소위 반당죄의 물증(작은 거울과 퇴색한 옛 화보 한 장)이 우리 집에서 발견된 물증 때문에 입이 백 개라도 변명할 길이 없으나, 우리는 죽어도 우리 물건이란 걸 인정할 수 없네(정말 맡긴 상자 안에서 발견된 것이네). 우리에게 다른 죄가 있다면 몰라도 지금껏 반당적 사상이 없었네. 우리도 발견된 물증 때문에 입이 있어도 변명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지만, 영명한 공산당의 영도와 위대한 모(毛)주석의 영도 아래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은 결코 그것 때문에 중형을 판결하지는 않을 거라 믿네. 다만 억울한 죄를 뒤집어쓰고 사는 시간은 감옥에 있는 것보다 더 힘드네. …략… 부탁하는 몇 가지 일은 아래에 적었네.

1) 9월분 집세 55.29원을 대신 납부하여 주게(현금이 있네). …략…

11) 현금 53.30원은 우리 화장 비용으로 써주게. …략…

13) 기타 가구는 자네가 처리하게. 책과 글씨, 그림은 관련 부서의 결정에 따라 처리하게.

자네에게 수고를 끼치게 되어 정말 마음이 편치 않지만 달리 부탁할 사람이 없으니 이해해 주기 바라네.

1966년 9월 2일 밤

공산주의 국가로 본격적으로 진입하기 직전 동양에서 가장 코스모폴리탄이었던 상하이, 그곳에서 주로 프랑스 문학을 번역했던 국제인 푸레이의 유서는 단호하지만, 어떤 비장함도 슬픔도 없다. 일상적이고 사무적인 일을 부탁하는 듯한 이 유서는 그래서 더욱 더 슬프다.

1966년, 중국 내에 잔존하는 부르주아 세력을 타도한다는 명목 아래 실시된 문화대혁명의 열기로 뜨거웠다. 회의주의자이자 비판적 지식분자로 낙인 찍혔던 푸레이는 가택수색을 당하게 되고 ‘작은 거울과 퇴색한 옛 화보 한 장’이 문제가 된다. 왜냐하면 모택동과 대척점에 있었던 장개석과 관련된 물건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상자는 푸레이의 고모가 맡긴 상자였고, 그 상자에 원래부터 저러한 물건이 들어 있었는지 푸레이는 알 길이 없었다. 푸레이는 끝까지 그 상자의 주인을 말하지 않았고 대우파분자(大右派分子)로 몰려 사형은 아니더라도 감옥에 가야할 신세였다.

그는 감옥에 가는 것보다 죄를 뒤집어쓰고 사는 시간이 더 힘들 것 같다고 했다. ‘죄를 뒤집어쓰고 사는 시간’이란 개인에 국한된 시간이 아니라 중국 전체에 대한 이야기로 들린다. 실제로 문화혁명 동안 중국의 비판적 지식인들은 모두 재갈이 물린 채 살아가게 된다. 말하는 것을 멈추게 하는 일, 당의 말에 무조건 복종해야 하는 사회, 이러한 사회에서 지식인은 죄가 있든 없든 죄인이 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한 삶을 푸레이는 단호히 거부했다.

그랬다. 푸레이는 프랑스에서 4년 동안 미술사를 전공하였다. 서구의 자유로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등을 깊이 체화하였을 것이다. 그가 살아온 삶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1950년 이후의 삶의 방식과는 너무도 격차가 컸을 것이다. 1957년 반우파 투쟁이 시작되었을 때에도 그는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보다 ‘인격’과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신념을 내려놓지 않았다. 1958년, 푸레이의 아들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부총이 영국으로 망명하게 되자 그는 부르주아 민주주의자 즉 우파분자로 낙인찍히게 된다.

이후 재갈이 물린 비판적 지식인은 허무와 비관주의에 휩싸였다. 그가 죽은 것은 1966년이나 그가 그토록 사랑했던 아들이 영국으로 망명한 1958년부터 그의 죽음은 시작됐다. 그 죽음의 완성이 1966년일 뿐 그가 죽은 해는 큰 의미가 없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죽은 채로 살아온 자의 유서라고 해도 그의 유서에는 덧붙일 말이 있다.

공강일 서울대 강사·국문학
공강일 서울대 강사·국문학

푸레이는 유서에 자신의 억울함을 적극적으로 호소하거나 해명하지 않았다. 다만 유서의 절반 이상을 할애하여 자신의 물건을 어떻게 처분할 것인지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그가 명시하고 있는 것은 예금, 현금가구, 시계 등 사소한 것들이다. 모르긴 몰라도 이것들은 이미 그의 일부가 되어버린 물건, 자신의 과거가 기입된 물건들이었을 것이다. 이에 대해 부르주아의 사적 소유에 대한 집착이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들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이전에 이미 그의 일부가 되어 있었던 물건이다. 그런 점에서 이 유서를 하나의 알레고리로도 읽을 수 있다. 공산화되기 이전에 형성된 자신의 가치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그리고 자유에 대한 신념, 이것은 바꾸거나 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그는 말하고 있는 듯하다.

이미 자신의 몸이 되어버린 사유와 사상들, 영국으로 망명한 아들까지 버려야 하는 사회, 결코 버리려야 버릴 수 없는 것들마저 버리게 하는 사회에서 그는 더 이상 살아갈 수 없었을 것이다. “사회주의 이전 사회에서 흘러 들어온 찌꺼기”였고, 홍위병 입장에서 보면 그는 구제불능이었을 것이다. 변화하는 세계에 적응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죽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변화를 강요하는 변화란 잘못된 것이 틀림없다. 그러한 변화 앞이라면 목숨을 내어놓는 것이 더 좋은 선택일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