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중 처서(處暑)는 14번째 해당한다.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들며, 양력으로 8월 23일(음력 7월 15일) 무렵 이후에 든다. 올해 처서는 이달 23일이다.

“가을에 들어선다”는 입추보다 진짜 가을을 느끼게 하는 절기가 처서라 한다. 말 그대로 더위가 멈춰선다는 뜻이다. 이때부터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서 아침저녁으로 제법 신선한 기운을 느끼게 된다. 따갑던 햇볕도 누그러져 풀이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다. 농부들은 논두렁의 풀을 깎거나 산소를 찾아 벌초도 한다. 아침저녁으로 신선한 바람이 불어와 극성을 부리던 파리와 모기떼도 사라진다. 속담에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삐뚤어진다”는 말이 여기서 생겨났다.

농부들은 처서 이후 날씨에 관심이 대단히 많다. 한해 농사의 풍흉을 이때의 날씨가 좌우하기 때문이다. 가을이 찾아왔다고는 하지만 아직은 왕성한 햇볕이 있어야 벼가 완전히 성숙할 수 있다. “처서에 비가 오면 독의 곡식도 줄어든다”는 말처럼 농부들에게는 한해 농사의 마무리가 이때부터 고비다. 여름 내내 우리를 지치게 했던 한여름 무더위는 처서로 한풀 꺾이고 지금부터 여름철 내내 지친 심신을 위로할 음식이 필요하다. 우리의 조상은 예로부터 가을철 원기회복 음식으로 추어탕을 즐겨 먹었다고 한다. 문헌에 의하면 고려말 송나라 사신인 서긍의 ‘고려도경’에 추어탕이란 말이 처음 등장한다. 그러나 미꾸라지가 강이나 논에서 흔하게 잡히는 것이어서 실제로는 그 이전부터 즐겨왔던 음식으로 짐작이 된다. 미꾸라지는 7월말에서 11월초까지가 제철이다. 몸에 좋은 음식은 제철에 해먹어야 효과가 높은 법이다. 추어탕은 미꾸라지를 푹 고아 여러 가지 채소를 넣고 양념하여 끓인 우리의 토속 음식으로 원기를 북돋워주는 가을 음식으로는 최고다. 특히 여름철에 더위에 지친 서민들에게는 단백질을 공급하는 매우 요긴한 음식이다. 본초강목에도 “양기에 좋고 백발을 흑발로 변하게 하는 음식”으로 소개하고 있다.

가을의 길목에 들어섰다. 우리 민족의 토속음식인 추어탕 한 그릇으로 몸보신도 하고 신선한 가을바람에 갑갑한 기분을 풀어보는 것도 좋겠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