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류도(風流道)
신라의 청년들을 찾아서 ⑦
인터뷰 주보돈 한국고대사학회 고문

화랑의 탄생 과정과 역할, 풍류도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 역사학자 주보돈. /이용선기자

가야할 길이 어두울 때는 길을 밝힐 ‘등불’이 필요하다.

인터뷰는 ‘길 잃은’ 기자들에게 가끔, 아니 자주 환한 등불의 역할을 해준다. 특히 역사나 철학, 문학과 미술 같은 전문적 지식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그 도움이 절대적이다.

‘풍류도’와 ‘화랑’에 대한 연재를 이어가면서 어려움에 처할 때마다 한국 고대사를 연구해온 ‘눈 밝은 사학자’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느꼈다. 그리고자 하는 그림의 온전한 바탕을 만들고 싶어서였다.
 

신라의 최고 지식을 가진 승려들이 교육 담당
자연신앙·노장사상 결합… ‘화랑’의 이념 탄생

전통적 공동체서 국가 중심 관리·지원한 ‘화랑도’
중앙집권화 위해 충효와 우애·의리 함께 공존

화랑의 방향성 제시한 ‘사다함’… 최고 화랑으로 꼽아
삼국통일 이전 가장 활발, 진덕여왕 때부터 점차 소멸
이제는 화랑의 시대와 다른 전통 속 새로움 발견 할 때

그런 차원에서 보자면 한국고대사학회 고문이자 한국목간학회 명예회장인 주보돈(66)과 인터뷰를 할 수 있게 된 것은 행운이었다. 독자들을 대신해 물어볼 것이 많았다.

‘금석문과 신라사’ ‘신라 지방 통치체체의 정비 과정과 촌락’ ‘김춘추와 그의 사람들’ ‘한국 고대사의 기본 사료’ ‘가야사 새로 읽기’ 등의 책을 쓴 주보돈은 지난해부터 경주에서 생활하며 연구와 강연, 집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엔 국립경주박물관 운영자문위원장도 맡았다.

한바탕 쏟아진 소나기가 무지막지했던 폭염의 기세를 꺾어준 8월 초순. 경주 외곽 조용한 카페에서 주보돈을 만났다. 아래는 그날 화랑과 풍류도에 관해 주고받은 이야기들을 요약한 것이다.

◆ 풍류란 유·불·선 삼교(三敎)의 융합을 의미

-신라의 ‘화랑’과 ‘풍류도’에 관해선 여러 학술적 견해들이 있다. 당신이 생각하는 풍류도는 무엇인가.

△풍류란 글자 그대로 하면 바람 부는 대로 물결치는 대로 가는 것이다. 풍류가 원래 화랑의 이념은 아니다. 화랑은 고정불변의 지향성과 목적성을 가진 조직이 아니었다. 화랑이 제 기능을 했던 것은 삼국 통일 이전이다. 통일을 위한 전쟁에서 신라가 승리한 이후엔 화랑의 본래적인 기능들이 상실되는 과정을 겪는다.

처음 화랑이 만들어진 목적은 시대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한다는 것이었는데, 그게 후대로 가면서 현실적 한계에 부딪치니까 다른 문제도 파생된다.

통일 이후에도 화랑이 완전히 사라지진 않았다. 하지만, 인재 양성이라는 주류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비주류화 된다. 이 과정에서 풍류를 강조하는 흐름이 생기는데, 처음부터 화랑이 풍류를 강조했던 건 아니다. 풍류 혹은, 풍류도가 화랑의 핵심은 아닌 것으로 생각한다.

-‘풍류’라는 단어가 처음 언급되는 건 최치원의 ‘난랑비서(鸞<90CE>碑序)’다. 여기 등장하는 ‘현묘한 도’라는 건 어떤 의미로 받아들이면 될까.

△유·불·선 삼교의 융합을 지칭한다. 화랑이란 이름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유학이 필요했다. 불교의 이데올로기만을 가지고는 국가를 운영해나갈 수 없었으니까.

신라는 6세기에 들어서면서 바뀐 시대를 맞이한다. 그때까지 지속되던 공동체가 깨지고, 국왕을 정점으로 하는 새로운 지배 체제가 갖춰지게 된다. 그걸 위해 국가 조직을 구성하고, 관료를 뽑아야 했다. 새로운 시대로의 지향을 가진 인재의 양성이 절실했다.

문자와 문장 교육도 해야 하고, 관료의 기본 덕목을 갖춘 인물도 있어야 했다.

당시 최고의 지식인은 승려들이었다. 그들이 젊은이들을 교육하는 역할을 했다.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화랑들에게 ‘우리는 (나라를 강성하게 만들) 미륵의 화신’이라는 의식을 불어넣었다. 당시 신라는 삼국 통일을 향해 가는 단계였다. 미륵의 화신이란 ‘전쟁의 선봉장’ 역할을 할 화랑을 의미했다. 여기에 자연신앙과 노장사상(老莊思想)까지가 결합해 화랑의 이념이 된 것이다.

-풍류도가 화랑의 지도 이념 혹은, 당대 신라의 핵심 이데올로기였다는 견해가 있다. 동의하는지.

△‘길 道자’를 써서 화랑도(花郞道)라고 하는 건 일제 강점기 때 만들어진 것이다. 일본의 학자가 무사도(武士道)처럼 만들어낸 조어(造語)다. 원래 화랑도의 도는 ‘무리 徒자’를 썼다. 사실 해방 전후에 독일 등에서 유학한 몇몇 학자들이 화랑도(花郞道)를 연구했다. 이들은 정부 수립 이후 고위직 관료가 됐고, 학도호국단을 만들기도 했다. 불안한 정국 속에서 국가적 필요에 의해 화랑도가 이용된 측면이 없지 않다. 이런 세태는 1970년대까지 지속됐다.

◆ 화랑, 전통적 공동체에서 중앙집권 국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탄생

-신라의 발전과 통일 과정에서 화랑들의 역할은 어떠했나.

△화랑은 국가가 어떤 방식으로 인재를 양성할 것인지에 관한 시스템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별 조직이 천거하는 형태로 시작됐다. 6세기 들어 신라는 국왕을 중심으로 하는 체제로 진화한다. 전통적 공동체에서 국가 중심 왕권국가로 넘어가는 과정에 과도기적으로 생겨난 게 화랑도 조직이다. 화랑은 ‘화랑’과 ‘낭도’로 구성됐다. 한 사람의 화랑 아래 여러 명의 낭도가 더해져 화랑도가 된 것이다. 적게는 수십 명에서 많게는 1천 명까지 화랑 조직의 규모는 각기 달랐다.

화랑도는 국가가 관리하고 지원했다. 교육을 위해 승려를 파견하기도 했다. 승려들은 화랑에게 국가가 요구하는 이념을 가르쳤다. 신라에 국학(國學)이 생기기 이전까지 화랑은 적지 않은 역할을 수행했다. 이런 차원에서 보자면 화랑도는 반관반민(半官半民·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운영)의 조직이다. 한 나라가 중앙집권화 되기 위해선 수직적 질서인 충효(忠孝)와 횡적 질서인 우애와 의리가 함께 필요하다. 화랑도는 바로 이 과정에서 탄생했다고 본다.

-신라의 화랑 가운데 주목할 만한 인물은 누구인지.

△사다함이다. 562년 신라가 가야와 전쟁을 벌이는데 참전했다. 또한 친구와의 의리 때문에 스스로 죽음을 선택한다. 공로에 대한 포상도 거부했고, 왕으로부터 받은 노비들을 방면하기도 했다. 이는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인재상을 보여준 것이며, 뒤에 만들어진 ‘세속오계(世俗五戒)’의 앞선 실천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사다함은 화랑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조직과 국가를 위해 목숨도 내놓는 헌신과 봉사. 이는 당대의 정치권력이 청년들에게 원했던 것이다. ‘세속오계’는 화랑만의 덕목이 아니라 그 시절 집권층이 모든 젊은이들에게 요구했던 것들을 집약한 것이다.

-풍류도가 신라 당대만이 아니라 고려와 조선, 나아가 현대 사회에까지도 여러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의견이 있는데.

△화랑은 신라 말까지는 남는데,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와서는 변질된다. 화랑의 존재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은 6세기부터 10세기 초반까지다. 그들이 제 기능을 하는 단계는 삼국 통일 이전이다. 이때 화랑의 전형적 모습을 나타낸다. 전쟁이 끝나면서는 서로 밀어주고 당겨주면서 화랑들이 군관이 되고 주요 관료가 됐다. 여기서 끼리끼리 뭉치는 폐단도 생겼다.

앞서 말한 것처럼 화랑도 조직은 여러 개였다. 화랑의 이름을 기록한 명부도 있다. 또한 화랑은 열아홉 살이 되면 요즘 말로 ‘졸업’을 했다. 한 번 화랑이 되면 영원히 화랑으로 남는 것이 아니었다. 그렇기에 노화랑(老花郞·나이 많은 화랑)이라는 단어는 틀린 말이다.

-고구려와 백제에도 화랑과 유사한 청년 조직이 있었는지.

△고구려엔 경당(<6243>堂·고구려 각 지방에 세워진 사학기관)이라는 조직이 있었다. 그러나 화랑처럼 주목받지는 못한다. 그것에는 이유가 있다. 고구려는 신라보다 150년 먼저 불교를 받아들이고, 태학(太學·고구려의 국립 교육기관)을 설립한다. 중앙집권과 유학 교육이 시작된 시기가 신라보다 빨랐다. 화랑도처럼 ‘반관반민’의 성격을 가진 조직이 사라질 수밖에 없었다. 4세기에 이미 태학이 만들어졌으니까.

고구려는 유학을 중심으로 한 인재 양성기관이 일찍 그 기능을 시작했다. 그랬기에 화랑도와 같은 역할을 한 조직을 찾아보기 어렵다. 존재했더라도 그 존재감은 미미했을 것이다.

◆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비전 보여야 할 ‘화랑정신’

-‘풍월주’와 ‘화랑’의 차이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풍월주라고 하는 단어는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에 등장한다. 화랑이 변질되면서 삼국 통일 이후엔 풍월주라 불렸을 가능성이 있다. 통일 이후 화랑들은 조직간 경쟁이 심화돼 관료화된다. ‘당신은 어떤 화랑의 라인이냐’를 놓고 갈등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런 반목은 국가 조직 유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진덕여왕 시절엔 김춘추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해 국학을 수용하고, 교육 내용도 유학 중심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런 기조는 통일전쟁이 끝날 때까지 유지됐다. 사실 진덕여왕 때부터 화랑은 단계적으로 소멸해간다. 인재 양성의 중심기관이 화랑도에서 국학으로 옮겨간 것이다. 또한 관료도 천거(薦擧·소개나 추천)가 아닌 시험을 통해 선발하는 시스템이 자리를 잡아간다.

-화랑이나 풍류도를 보면서 오늘날 우리가 지향해야 할 가치는 무엇인가.

△이제 막연하게 국가에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도하라는 말은 통하지 않을 것이다. 공동체가 있어야 내가 존재하는 것이고, 공적인 가치를 기꺼이 공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게 중요하지 않을까.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내가 존재한다는 것을 교육을 통해 알려줘야 한다. 옛날 방식의 훈육으로는 안 된다. 화랑의 시대와는 다른 방식의 새로운 비전을 보여줘야 한다. 디지털시대로의 급격한 변화는 존재해온 많은 것들을 무작정 버리게 만들었다. 우리에겐 전통문화와 아날로그 문화도 필요하다. 이것들이 디지털 문화와 조화롭게 결합해야 한다. 실용주의와 현실주의에만 집착할 것이 아니라, 전통 속에서 새로움을 발견해야 할 때가 됐다.

-마지막으로 화랑이 가졌던 긍정적인 측면은 무어라 생각하는지.

△신라가 전통적 공동체에서 중앙집권 왕권국가라는 새로운 사회 체제로 진화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