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경제가 사면초가에 빠졌다. 미중 무역 분쟁에 이어 일본의 한국기업에 대한 2차 규제가 본격 시작되자 우리 경제에 대한 위기감이 날로 고조되고 있다.

대구와 경북의 기업도 예외일 수 없다. 특히 한국 기업에 대한 일본의 경제규제가 현재로서는 출구조차 보이지 않을 만큼 막다른 길로 달려 기업이 갖는 불안감도 여느 때보다 높은 실정이다. 대구시와 경북도에 따르면 대구와 경북에서도 1천100개가 넘는 업체들이 일본으로부터 소재와 원료 등을 수입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한다. 수입 금액으로는 28억 달러 규모나 된다. 특히 경북은 일본으로부터 수입액이 전체의 15% 수준으로 중국, 호주에 이어 세 번째로 규모가 크다고 한다.

이에 따라 지역 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절실해지고 있다. 물론 정부 차원의 대책이 마련되고는 있으나 이와는 별개로 지역단위에서도 대응 방안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일본의 이번 조치로 대구·경북의 기업은 어떤 영향을 받을 것인지, 그 규모는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진상조사에 나서 대응책 준비에 돌입했다고 하니 그나마 다행스럽다. 그러나 일본 의존도가 높은 기업은 이 같은 대응책을 모색한다 해도 당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불가피하게 일본의 경제규제에 피해를 입어야 할 업체도 많이 나올 전망이다.

대구와 경북에는 기계와 화학, 철강, 금속, 전자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일본의 제품을 구매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경북 구미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전자기기 생산업체가 많아 타 지역보다 높은 타격이 예상된다고 한다.

대구시와 경북도 등 행정당국의 지원은 이런 때일수록 요긴하다. 상의 등 경제단체와 협업을 통해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에 대응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기업에게 전달해야 한다. 장·단기적 관점에서 해결책을 모색하고 필요하다면 당국의 예산도 지원해야 한다.

기업 스스로도 사태의 추이를 면밀히 살펴보고 자구안을 찾는데 골몰해야 한다. 정부에서도 대일 의존도가 높은 품목을 집중 관리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일본의 무역규제에 대응해 정책자금의 지원 등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지역 기업들이 적시적소에 필요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끔 지방정부 당국의 세심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지금 우리는 일본과의 전례 없는 경제전쟁을 벌이고 있다. 외교적 문제를 경제문제로 끌어들인 일본의 태도에 많은 국민들이 분노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제를 분노와 감정만으로 풀 수는 없다. 수입선의 다변화와 기술개발 등과 같은 침착한 대응 논리를 찾아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일본의 무역보복이 한국의 모든 기업에게는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수 있도록 침착하고 냉정한 지혜를 짜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