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금상선(주)이 2일부터 포항 영일만항 노선에 1만t급 컨테이너선 2척을 투입하기로 포항시와 협약을 맺었다. 장금상선은 포항 영일만항∼중국 상하이항∼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항을 왕복하는 주1회 정기 상선을 운항키로 한 것이다. 이로써 포항 영일만항은 중국, 러시아, 일본, 동남아 등 7개국 25개 항에 주 7항차 직항노선이 연결되게 됐다. 2009년 8월 컨테이너 부두 4선석으로 문을 연 포항 영일만항은 올 해로 10년 차를 맞고 있다. 그러나 물동량은 올해 목표가 겨우 12만 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 수준이다. 2018년 11만 TEU, 2017년 10만 TEU, 2016년 9만 TEU 등 해마다 실적이 소폭 증가는 하고 있으나 이 정도 수준으로는 컨테이너 무역항으로서 역할을 제대로 한다고 말할 수 없다. 부산항과 인천항에 비하면 그야말로 새발의 피다. 부산항은 현재 150개국 500개 항만 주 268항차를 운영하고 있다.

규모의 경제에서 대형 항만과 경쟁에서 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컨테이너 무역 관련 정보나 인프라 등에서 당연히 취약하다. 운송거리가 크게 단축되는 효과도 별로 없다. 경북업체에 제한해 보더라도 부산을 가나 포항을 가나 운송비를 크게 줄일 것이 없다. 경북도내 화주들이 부산을 찾아가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포항 영일만항은 경북도내 유일의 국가항이다. 환동해권 물류거점과 대북방 교역, 해양관광 중심항으로서 역할을 목표로 육성돼 왔다. 특히 지난해 제1회 한-러 지방협력 포럼이 포항에서 개최되면서 포항은 북방경협 중심도시로 부상했다. 정부의 신북방 정책에 발맞춰 포항의 역할이 기대되는 것으로 모두가 낙관했다.

그러나 북방교역을 효율적으로 추진키 위한 거점항으로서 역할에 어울리는 영일만항의 준비는 10년째 제자리 걸음이다. 특히 거점항을 중심으로 한 인프라 구축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항만 배후산업단지 조성이나 인입철도 개설, 고속도로와의 연결망 구축 등이 제때 안 되고 있다. 2개의 고속도로와 연결이 기대되는 영일만대교 건설 사업은 국정과제에 포함되지도 않았다. 물론 해양수산부의 지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선사를 위한 항만시설 사용료 감면과 운영수입 보장금도 지원해 주고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신설 항만이 성장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내년도 준공되는 국제여객부두 신설에 맞춰 정부 차원의 대폭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재정이 취약한 지자체에서는 기업들을 끌어당길 유인책 마련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재정적 지원도 거의 불가능한 형편이다. 국토의 균형발전과 환동해권 중심도시로 육성하겠다는 정부의 의지와 과감한 투자만이 영일만항의 활성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이다. 포항 영일만항은 대구와 경북의 유일한 항만이다. 지역 수출업체들의 무역을 돕는 것은 물론이요 북방교역에 대비하는 거점항으로 기능이 살아날 수 있게끔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