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잔재” vs “일본인 낮잡아 부른 명칭” 대립

속보= ‘NO왜관’ 운동<본지 7월 30일자 5면>을 계기로 왜관(倭館) 지명을 놓고 논쟁이 뜨겁다. 논쟁의 요지는 왜관이란 지명이 ‘일제 잔재’, ‘단순한 지명’이라는 의견으로 서로 대립하고 있다.

칠곡군 역사바로세우기 추진위원회는 지난달 29일 왜관역 광장에서 ‘왜관’이라는 지명을 지우고 칠곡군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기 위한 ‘NO왜관’ 운동을 칠곡군민들과 함께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러자 이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왜관읍이라는 명칭은 1996년 전국적으로 일제 잔재 지명을 바꿀 때 변경되지 않았다.

경북 도내 조사대상 17곳 중 9곳은 옛 이름으로 바뀌었지만, 왜관읍 등 8곳은 일제 이전부터 사용해왔다는 이유로 그대로 뒀다. 당시 칠곡군정자문위원회는 일본 잔재로 볼 수도 있으나 왜관은 6·25 전쟁의 보루 지역으로 세계전사에 남은 곳이라서 지명을 함부로 바꿔선 안 된다고 결론 내렸다.

낙동강전투 보루인 왜관읍이 세계사에 알려진 상황에서 지명을 변경하는 것은 얻는 것보다 잃는 게 많다고 판단한 것이다.

또 왜관은 왜인(倭人·일본인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 산 곳이라는 의미일 뿐 일제 잔재는 아니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김윤오 칠곡문화원장은 “왜색이 짙은 명칭이어서 듣기 싫어 개명해야 한다는 움직임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닌데 일찍이 자제하자는 쪽으로 결론이 났었다”며 “‘왜’자가 바람직하지 않고 읍 명칭에 집 ‘관’자를 쓰는 곳이 없어 바꿔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만, 행정 비용과 절차 등을 생각했을 때 쉬운 문제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군 관계자는 “현재 UN에 전쟁기록 및 역사기록 부분을 살펴보면 왜관이 영문, 한글로 기록되어있는 등 역사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 대구 북구 칠곡향교에서 칠곡이란 명칭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 역시 마음대로 지명을 바꿀 수 없는 이유 중 하나다”며 “만에 하나 지명을 바꿀 기회가 있다면 칠곡시 승격시 방법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칠곡/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