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1년부터 ‘대프리카(대구+아프리카)’로 불리는 곳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는 1일 기상청 기후전망 시나리오를 활용해 전국 229곳 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폭염 위험도(2021년 ~ 2030년)’를 평가한 결과를 공개했다. ‘폭염 위험도’는 지난 2014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5차 보고서에 제시된 개념이다. 뜨거운 날씨가 지역 사회와 인간에게 미치는 위험성 정도를 나타내며, 매우 높음-높음-보통-낮음-매우 낮음 등 5단계로 나뉜다. 아울러 날씨의 물리적인 위험을 나타내는 위해성과 그러한 위해성이 인체에 얼마나 노출될 것인지를 보여주는 노출성, 인체를 위해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정도를 뜻하는 취약성을 종합해 산출한다.

환경부에 따르면, 오는 2021년부터 2030년 우리나라의 폭염도는 기준년도(2001년 ~ 201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염도 ‘매우 높음’ 지역은 19곳에서 48곳으로, ‘높음’ 지역은 50곳에서 78곳으로 증가했다. 반면, ‘낮음’ 지역은 64곳에서 32곳, ‘매우 낮음’ 지역은 16곳에서 6곳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날 환경부가 공개한 폭염 위험지도를 보면, 2021년부터 10년 간 우리나라 남부 대부분 지역이 폭염도 ‘매우 높음’에 해당하게 된다.

대구 서구와 중구, 수성구 등 모든 지역이 폭염도 ‘매우 높음’에 해당했다. 경북의 의성군과 청도군 등 일부 지역도 폭염도 ‘매우 높음’으로 나타났다. 이 뿐만 아니다, 2010년까지 폭염도 ‘보통’ 수준이었던 서울 대부분 구(區)에서 폭염도가 높음 이상으로 치솟았고, 경기·인천 등 수도권 역시 폭염도 ‘낮음’ 지역이 거의 자취를 감춘다.

환경부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에 따라 일 최고기온 등 위해성이 증가하고 고령화에 따른 65세 인구, 독거노인 비율 등 노출성이 증가하며, 도시화면적 비율과 같은 취약성이 늘어나면서 나타나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