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정권 적폐로 몰고 지자체도 동조 경향
구미시 ‘세계문화’ 종주도시 자부심 가져야

‘구미 새마을운동테마공원은 진짜 애물단지일까?’

지난해 11월 부분 개장한 새마을공원이 관람객 숫자만으로 애물단지 취급을 받고 있어 속사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루 평균 입장객이 170여 명에 불과하다며 이미 만들어진 새마을공원을 마치 세금낭비의 대표적 사례인 것처럼 일부에서는 깎아내리고 있다. 하지만 경북도와 구미시는 이 문제가 이념논쟁으로 번질수 있다는 이유로 제대로 대응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새마을공원을 찾는 하루 평균 방문객 170여 명은 진짜 적은 인원일까. 인근 지역인 칠곡군이 운영하고 있는 호국평화기념관의 지난해 방문객은 17만여명이다. 입장료가 있는 곳이라 단순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따르지만, 이 중 10만여 명 이상이 단체관람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새마을공원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6월까지 약 7개월 동안 누적 관람객 수가 4만여 명이다. 단체관람이 없는 점을 감안하면 결코 적은 인원이 아니라는 것이 전시업계 관계자들의 일치된 평가다.

경북지역 대부분의 시설들이 특정 기간에 관람객이 몰리는 점 등을 고려하면 새마을공원은 오히려 일반 관람객이 계절 구분없이 꾸준히 찾는다는 점도 특이하다. 새마을공원이 새마을운동에 대한 교육 목적이 강한만큼 완전 개장되면 단체관람 등으로 인해 관람객 단순 수치로 인한 논란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새마을공원이 세금낭비의 대표적 사례인양 치부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 한 사회운동가는 정권이 보수에서 진보로 바뀌면서 새마을운동을 적폐로 인식하기 때문에 빚어지고 있는 ‘적폐몰이’라고 분석했다. 여기에 지자체들도 이러한 흐름에 몸을 낮추는데 동조해 새마을운동을 외면한 면도 없지 않다고 덧붙였다.

실제, 경북도와 구미시는 정권이 바뀌자 새마을공원 운영권을 두고 대립각을 세우는 꼴싸나온 모습을 연출했다. 보수정권 당시 앞다퉈 새마을공원 조성에 열을 올리던 두 지자체가 진보정권으로 바뀌자 서로 운영을 맞지 않으려고 진흙탕 싸움을 벌인 것이다. 그 진흙탕 싸움은 결국 전시관 콘텐츠 부족으로 이어졌다. 다행히 현재는 구미시와 경북도가 공동으로 운영을 맡고 있지만 콘텐츠 부족 문제는 아직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구미시와 경북도의 행태로 미뤄볼 때 콘텐츠 보강은 시늉만 할 가능성이 다분하다는 지적이다.

이제부터라도 구미시와 경북도는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새마을운동 유산의 자부심을 제대로 깨달아야 한다는 소리가 나오고 있다. 새마을운동은 유네스코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우리의 문화유산이며, 구미시는 이러한 문화유산인 새마을운동의 종주도시, 경상북도는 새마을운동의 발상지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스스로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유산의 자부심을 외면한다면 그 유산은 죽은 유산이나 다름없다.

경북도와 구미시는 새마을공원을 조성한 취지를 다시한번 되새겨야 한다. 구미시와 경북도는 새마을공원이 시민과 도민들, 나아가 전 국민들의 자부심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짜내야 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구미/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