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만장한 정계의 풍운아 정두언 전 의원의 죽음을 두고 많은 사람들이 충격을 받았다. 정 전 의원은 이명박 정부 당시 ‘왕의 남자’란 칭호를 받을 만큼 이 대통령의 최측근이었으나, 권력 언저리로 밀려난 이후 뇌물수수혐의로 구속돼 10개월간 수감됐다가 무죄로 풀려났다. 무죄확정 후 받은 6천여만원의 형사보상금을 전액기부하고, 여의도에 다시 입성했지만 20대 총선에서 낙선했다. 그 와중에 이혼의 아픔도 겪었다. 이후 정 전 의원은 방송활동에 전념하며 보수논객으로 자리잡았고, 지난 해에는 재혼한 뒤 올해 초 일식조리기능사 자격증이 있는 아내와 함께 퓨전 일식집을 개업하며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그랬던 그가 돌연 스스로 목숨을 끊은 데는 파란만장한 삶속에서 앓게 된 우울증 때문으로 보인다. 정 전 의원은 지난 해 2월 모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정치, 가정에서 모두 실패했을 때 목을 맸지만 가죽벨트가 끊어져 실패했다”고 밝혀 주위를 놀라게 했다. 당시 그는 왜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느냐는 물음에 대해 “인간이 본디 욕심덩어리인데, 그 모든 바람이 수포로 돌아가 ‘이 세상에서 할 일이 없겠구나’생각이 들때 삶의 의미도 사라진다. 내가 이 세상에서 의미없는 존재가 되는 거다. 급성 우울증이 온거지.”라며 자신의 우울증을 털어놨다.
우울증은 죽음에 이르는 심각한 병이다. 이것을 병으로 보지 않고 방치하다가는 극단적으로 자살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고, 그때 후회해봐야 때늦게 된다. 따라서 가족이나 친구중에 우울증을 앓는 사람이 있다면 어떻게 응대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지를 알아두는 게 좋다. 우선 우울증으로 환자가 짜증, 무기력, 약속을 지키지 않는 태도를 보이더라도 비난하지 않고 차분히 대화를 나눠보고, 그의 어려움을 충분히 들어주고 이해하고 공감하고 격려해주는 게 좋다. 중요한 것은 섣부른 충고보다는 경청하는 자세로 친구가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좋다. 한걸음 더 나아가 우울증 치료를 받도록 적극 권유하고, 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항우울제를 복용하도록 도와야 한다. 무엇보다 자살의 위험이 있다고 생각되면 즉각 정신과의사의 치료와 도움을 받도록 해야한다. 육신의 병보다 더 무서운, 죽음에 이르는 병이 우울증이란 사실을 다시한번 새기게 된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