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강소연구특구’ 지정 이어
차세대 배터리 ‘규제자유특구’
영일만 ‘관광특구’도 전망 밝아
이달 중 성사땐 지역경제 활로
기업유치·고용 등 큰 파급효과

포항경제를 살릴 핵심산업 특구가 잇따라 지정된다.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 등 신(新)산업특구와 관광특구 지정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역경제에 활로가 뚫릴 것으로 기대된다.

14일 포항시 등 복수 관계자에 따르면 ‘영일만 관광특구’와 ‘배터리 리사이클 규제자유특구’ 지정이 이달 중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2개 특구가 모두 차질없이 지정되면 관광과 산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셈이다. 지난달 전국 최초로 강소연구개발특구에 지정된 이후 희소식이 이어지면서 어려움을 겪는 포항경제에 희망이 되고 있다.

영일만 관광특구 지정은 기존의 철강산업도시 이미지를 넘어 포항이 해양문화관광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 디딤돌이 될 전망이다.

이를 계기로 시는 환호공원과 영일대해수욕장, 죽도시장, 송도해수욕장, 포항운하 일원 2.41㎢를 도심권역 해양관광의 중심지로 육성한다. 일반적으로 관광특구로 지정되면 식품위생법이나 공중위생법의 영업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24시간 영업이 가능해지는 등의 특전이 주어진다.

시는 관광특구 승인이 나면 포스코 야경과 함께 걷는 영일대해수욕장 불빛 특화 거리 조성과 솔밭으로 유명한 송도해수욕장 개발, 환호공원 활성화 방안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영일대해수욕장 일원에는 포항여객선터미널과 환호공원 전망대를 연결하는 총 길이 1.8㎞의 해상케이블카를 건설하고, 국지도 20호선 교량 등을 연계한 다양한 복합개발을 추진한다. 해안 카페거리로 발전한 송도해수욕장 일원은 민자 100억원을 유치해 80m 이상급 대관람차를 설치하고 키즈클럽과 워터파크(민자 200억원) 등을 만들어 오션테마랜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경북도와 포항시가 영일만 1·4 산업단지와 블루밸리산업단지에 추진하는 규제자유특구 지정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포항은 전국 10개의 1차 협의대상에 이름을 올렸고, 시는 지난 5월 7일 주민공청회를 개최해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 규제자유특구’와 관련한 지역주민과 관계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후 중소벤처기업부에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최종 신청했다. 중기부는 이달 중으로 규제특례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결정·고시할 예정이다.

규제자유특구란 지역산업 육성을 위해 규제샌드박스 등 규제특례와 지자체·정부 투자계획을 담은 특구계획에 따라 지정된 구역을 말한다. 규제자유특구로 선정되면 201개 규제를 유예 혹은 면제받을 수 있고, 법인세와 소득세 등을 감면받을 수 있다. 특히 해당 지역에 들어간 기업들은 한 번에 규제특례를 받을 수 있어 자유롭게 신산업을 개발하고 자체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시는 전기차 보급확산 등으로 배터리 재활용에 대한 중요성이 커졌지만, 국내 법규·규제의 기반 취약으로 배터리 관련 활용기술 개발과 산업화에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배터리 리사이클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면 2차전지 관련 기업 유치로 전·후방 산업간 시너지 효과로 지역산업에 큰 활력을 불어넣어 경제 활성화 및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면서 “환경문제 해결은 물론, 지진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사안이다”고 기대했다.

이보다 앞서 포항시는 지난달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기도 했다. 강소연구개발특구는 대형화된 기존 연구개발특구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로, 과기정통부가 과학기술 기반의 지역 혁신 성장 플랫폼 조성을 위해 기술 핵심기관을 중심으로 인근 지역을 배후공간으로 설정하는 개념이다. 이에 따라 시는 국내 최고 연구개발과 기술상용화 역량을 보유한 포스텍과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을 기술핵심기관으로, 3㎞ 이내에 기술 사업화와 생산시설이 입주할 수 있는 포항테크노파크와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를 배후공간으로 지정했다. 이 강소특구는 바이오, 나노, 에너지 등의 첨단 신소재와 AI(인공지능) 등 신산업 고부가가치 분야를 특화산업으로 설정하고 혁신 성장을 꾀하고 있다.

강소특구 지정으로 특구 내 입주기관에 대한 세금감면과 기술사업화 지원 등 기존 연구개발특구와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년 최소 60억 원의 국비를 교부받는다. 포항시는 이번 강소특구 지정을 통한 직·간접 효과로 250개 신규기업 유치, 5천500명 고용창출, 8천300억 원 매출증대 등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안찬규기자 ack@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