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으로부터 홍콩을 반환받기로 한 중국은 3가지 원칙을 지키기로 약속했다. 일국양제(一國兩制)와 고도자치(高度自治) 그리고 항인치항(港人治港)이 바로 그것이다.

일국양제는 하나의 나라에 2개의 체제를 뜻한다. 즉 국가는 사회주의 체제의 중국이지만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체제에 따른 각종 제도를 홍콩의 것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것을 말한다. 고도자치는 외교와 국방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홍콩 스스로가 자율권을 행사한다는 것. 항인치항은 홍콩을 중국인이 아닌 홍콩인이 통치하는 것을 뜻한다. 당시 중국의 덩샤오핑과 영국의 대처 수상은 이 같은 3가지 원칙을 50년간 유지하기로 확약했다.

알다시피 덩샤오핑은 중국의 개혁과 개방을 이끌어 오늘의 중국경제를 있게 한 장본인이다. 중국 개방 경제정책의 상징이던 흑묘백묘론(黑猫白猫論)을 설파한 인물이다.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된다”는 이론으로 자본주의든 공산주의든 상관없이 중국 인민을 잘 살게 하자는 것이 그의 경제개발 논리였다. 세계사에서 유례없는 중국식 사회주의가 탄생한 것은 덩샤오핑의 ‘신의 한수’가 있었던 때문이라는 평가도 있다. 2013년 시진핑 취임 후 홍콩에 대한 중국의 생각은 달라졌다. 이같은 협약에도 홍콩을 중국화하기 위한 중국의 내정간섭과 압박은 이어졌다. 송환법을 둘러싼 홍콩의 대규모 시위의 배경에는 중국과의 투쟁이 숨겨져 있다.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의 백기 선언으로 홍콩의 시위는 일단 한 숨을 돌리게 됐으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는 셈이다.

1997년 홍콩의 중국 반환 후 22년의 세월이 흘렀다. 앞으로 28년만 지나면 홍콩의 운명은 중국의 지배하에 놓인다. 영국의 지배로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경제체제에 익숙해진 그들이 중국의 공산주의 체제를 선뜻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100만 명이 넘는 대규모 시위에서 보았듯 민주주의에 대한 홍콩사람의 열망은 절박하고 간절하다. 그러나 홍콩을 길들이려는 중국 정부의 대응 또한 만만치 않다. 홍콩의 민주주의가 이제 시험대에 올랐다. 세계인의 이목이 모아지는 대목이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