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효상 의원 “20년 초과 노후관 비율 전국 최고 56.8%”
대구시 “정부규정 기준 9.6%… 전국 평균 14% 못 미쳐”
환경부 “5~10년마다 의무 세척, 12월에 종합안전대책”

최근 인천에서 ‘붉은 수돗물’사태가 발생한 가운데 대구출신 국회의원인 강효상 의원과 대구시가 노후수도관 비율을 놓고 진실게임을 벌이고 있다.

강 의원은 대구지역 노후수도관 비율이 전국 최고수준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대구시는 전국 평균 이하라며 맞서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환경부는 설치 후 일정 기간이 지난 상수도관은 5∼10년 주기로 세척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종합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자유한국당 강효상(비례대표) 의원은 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현안 질의에서 “환경부 ‘상수도 통계 2018’에서 20년을 초과한 노후수도관 비율을 살펴보면 대구가 56.8%로 전국에서 노후수도관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인천에서 발생한 ‘붉은 수돗물’사태가 대구에서도 일어 날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이어 “대구는 지난 2개월 사이에 30년 이상 된 노후수도관이 2번이나 파열되어 물 난리가 난적도 있다”며 “실제로 2017년부터 현재까지 최근 3년간 발생한 크고 작은 누수가 160건이나 된다”고 덧붙였다.

또 “대구지역 상수도관 중 수도관 기능을 하지 못하는 노후상수도관이 전체 10%인 77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최근 1년간 대구 북구지역에서만 수돗물 이물질 신고가 100건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에 따르면 대구시의 경우 1㎞당 노후관 교체 공사금액을 4억원으로 가정할 경우 향후 교체공사비는 3천800억원에 달하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다.

그는 “노후수도관 교체는 대구시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국적인 문제”라며 “정부는 전국에 있는 노후수도관에 대한 기술 진단 및 관로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해 체계적인 예산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강 의원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대구시는 “사실과 다르다”며 반박하고 나섰다.

대구시 상수도본부는 “20년을 초과한 수도관을 단순하게 노후수도관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지적”이라며 “환경부가 고시한 규정에 따르면 노후관은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고, 관 내부에 녹이 발생해 녹물이 나오는 관’으로 규정돼 있으며 연수는 정해져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대구시 상수도본부는 규정에 따라 조사된 대구지역 노후관 비율은 9.6%로, 서울(13.5%), 인천(14.5%) 등은 물론 전국 평균인 14.1%과 비교해도 매우 낮은 편이라고 강조했다.

대구시 상수도본부 관계자는 “유수율 향상과 흐린 물 출수방지를 위해 2016년부터 2030년까지 15년간 사업비 4천445억원을 들여 934㎞의 노후관 개량사업을 연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환경부는 노후수도관 방지를 위한 종합대책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우선 설치 후 일정 기간이 지난 상수도관은 관 종류, 직경에 따라 5∼10년 주기로 세척을 의무화해 녹물, 물때 탈락에 대비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이를 위해 이달 중 수돗물 안전관리 종합대책안을 수립한 뒤 의견 수렴을 거쳐 12월 확정할 방침이다.

종합대책에는 인천 ‘붉은 수돗물’사태의 원인이 됐던 수계전환과 관련 사전 공지를 의무화하는 방안이 담길 전망이다.

환경부는 이번 사태가 수돗물 공급 정수장을 바꾸는 수계전환 과정에서 유속이 기존보다 두 배 넘게 빨라지며 수도관 내벽에 쌓인 녹물과 물때가 떨어져 나와 발생했다고 보고 있다.

인천지역 상수도관은 1998년 매설 이후 22년간 제대로 청소한 적이 없다.

대규모 관로공사 시행 전에도 주민 공지를 의무화하고 사고징후를 실시간 감시, 예측할 수 있는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도입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상수관로 청소 등 체계적인 관리도 추진한다.

이밖에 식용수 관련 각종 사고에 대비한 교육 및 모의 훈련법을 개발하고 유역별 상수도 지원센터를 통한 대응력 강화방안을 추진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노후 상수관로 교체 및 보수계획은 기존 시설확충계획 및 앞서 범 정부 합동으로 발표한 노후인프라 종합대책 등 을 통해 지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필요시 종합대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인천지역을 포함한, 추가 시설투자 계획도 검토, 반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