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지역 농촌 빈집 해마다 늘어
지난해 기준 1천38동 집계
초고령사회…자연 감소 주요인

[상주] “깜깜한 야간에 다 허물어져 가는 빈집 옆을 지나가려면 금방 유령이라도 뛰쳐나올 것 같아 소름이 오싹 끼칠 때가 허다합니다.”

농촌지역 폐가를 바라보는 수많은 주민들의 목소리다.

농촌인구의 급속한 감소와 고령화 등으로 흉물로 전락한 농촌지역 빈집이 해마다 늘고 있어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상주지역의 경우 1년 이상 아무도 거주하지 아니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농촌 주택, 즉 빈집은 지난해 6월말 기준 1천38동으로 조사됐다. 이는 통계상의 수치일 뿐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빈집의 기준이 모호한 경우 등을 포함하면 사실상 빈집은 더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 처럼 빈집이 양산되는 이유는 대다수 농촌도시가 비슷한 수준이지만,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30% 전후의 초고령사회로 접어들어 생산인구보다 사망 등으로 인한 자연감소가 월등히 많기 때문이다.

실제 상주시의 연간 사망자수는 작은 면(面) 하나가 소멸되는 1천260여명인데 반해 신생아수는 470여명 밖에 되지 않아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다 부부 혹은 혼자 살던 노인들이 건강이나 부양 등의 이유로 요양시설에 입소하거나, 경제·교육적인 문제로 가족 전체가 도시로 이주하는 사례 등도 허다해 빈집이 생겨나는 또 다른 요인이 되고 있다.

농촌지역 빈집(폐가)은 주민들의 주거환경뿐만 아니라 치안, 경관, 위생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폐가의 지붕 재질은 대부분 발암물질이 함유된 슬레이트로 덮여 있고, 들고양이 등의 서식처가 되고 있는가 하면 우범·탈선장소로 이용될 소지도 높다.

또 장기간 방치된 빈집은 잡초가 무성하고 곳곳에서 부패가 진행되는 등 위생상 위협이 되고 있으며, 농촌지역의 경관도 크게 해치고 있다.

상주시는 2015년부터 슬레이트 처리사업과 연계해, 한 주택당 민간자본보조로 70만원씩을 지원해 매년 30~100동의 빈집정비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그러나 올해까지 지난 5년간 빈집정비사업에 투자한 예산은 260동에 1억8천200만원으로 전체 빈집 수에 비하면 처리 건수나 예산 규모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 모씨는 “연령별 인구 분포 등을 감안할 때 앞으로도 빈집 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빈집정비사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함께 귀농귀촌인 연계 등 획기적인 대책이 강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상주시 관계자는 “앞으로 매년 예산을 확보해 지속적으로 빈집정비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