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정 1년 평가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철우 경북지사가 새롭게 도정을 이끈지도 1년여다.취임 후 구두 대신 운동화로 갈아 신고 경북 23개시군과 중앙부처를 바쁘게 뛰어다니며 역동적으로 행정을 펼치고 있다. 이 지사는 “사업의 성격상 단기적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지속적인 투자가 뒤따라야 하는 등 시간이 필요하다”며 “이제 어느 정도 초안을 잡은만큼 속도가 날 것”이라고 밝혔다.

저출생극복과 돌아오는 농촌 위해
의성 안계면에 창업 시 자금 지원
시범마을 일자리사업 실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도정의 최대화두이자 저출산극복, 투자유치 등과 거의 맞물려 있는 최대 현안이다. 이에 대한 평가는.

△양질의 일자리가 늘어나면, 젊은층이 유입되고 이에 따라 결혼과 더불어 인구가 늘어나고 투자유치도 이루어져 도시가 활성화되는 등 모든 어려운 면을 단번에 해결할 수 있다. 임기 시작과 동시에 일자리창출을 위해 ‘잡(job)아(兒)위원회’를 만들고 “투자유치 20조원 달성, 좋은 일자리 10만개 창출로 일터 넘치는 부자경북”과 “저출생 문제를 극복하는 아이 행복한 젊은 경북”을 주축으로 하는 민선7기 도정운영 4개년 계획을 확정했다.

6월 현재 4만1천개의 좋은 일자리를 창출해, 1차년도 목표 3만1천개를 초과달성했다. 특히 행정안전부의 공모사업인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공모에 29개사업(일자리 2천843개)이 선정돼 전국 시도중 최고액인 국비 270억원을 확보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 경북형 일자리 모델의 현장 적용을 위해 시·군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다양한 모델사업을 발굴해 구체화해 나가고 있다. 우선적으로 검토되는 사업으로 구미 국가 5단지에 경쟁력 있는 기업을 유치하는 ‘구미형 일자리 모델’, 기존 투자기업(에코프로)의 추가투자를 촉진하고 신규투자(포스코케미칼)를 유치해 배터리 파크를 조성하는 ‘포항형 일자리 모델’, 기업 협의체 구성을 통한 전기 상용차를 생산하는 ‘경주형 일자리 모델’등이 있으며, 추후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저출산극복은 국가에서도 하기 힘든 일이다. 도가 너무 무리한 정책을 펼치는 것은 아닌가.

△취임 두달 뒤인 지난해 9월 경상북도 저출생 대응 종합대책을 수립했다. 중앙정부도 하기힘든 일을 지방정부 차원에서 극복하기 위한 첫 시동을 걸었다. 어려운 일임은 알지만 중앙정부한테 맡겨놓을수 만은 없다. 경북이 저출생문제 해결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것은 경북의 경우 매년 젊은층 인구가 6천여명 이상 타 시도로 유츨되고 있고, 전국적으로 인구감소 등으로 소멸위기에 처한 곳이 가장 많은 등 현재 인구감소가 가장 심각하기 때문이다. 5대 분야에 걸쳐 37개 과제 발굴 및 인구감소대응T/F 확대 등을 주요 골자로 해 전문가 54명으로 경북도 저출생극복위원회를 출범하고 저출생극복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홍보활동 등 적극적으로 추진중이다. 저출생극복과 동시에 돌아오는 농촌을 만들기 위해 의성 안계면에 창업 시 자금을 지원하는 시범마을 일자리사업을 실시한다. 이 사업이 지나치게 많은 예산이 투입돼 일부에서 투자대비 효율성면과 향후 성공가능성을 회의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농촌을 살리고 청년인구를 유입하는 사업을 처음으로 시행하는 만큼, 단기적으로 일희일비 하기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하는 사업인 만큼, 섣부른 판단보다는 이 모델이 정착하기 위해 총력을 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포항블루밸리공단을 비롯해 구미5공단 활성화 등 투자유치가 시급한데.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투자유치로 인한 공단활성화가 필수인 만큼,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투자유치 기반조성을 위해 경상북도 기업 및 투자유치촉진 조례를 지난달 개정해 투자기업 보조금 지원한도를 폐지하는 등 기업환경 개선에 나섰다. 취임 후 올해 4월 기준으로 투자유치 목표금액 7조5천억원, 신규고용 9천명에 실적은 61개사 4조6천677억원으로 목표대비 62.2%를 달성했다. 신규고용은 6천843명으로 목표대비 76%다. 이중 순수 도체결 MOU 실적은 16개사, 2조2천519억원(신규고용 3천445명)이다. 현재 장기적인 경기불황에다 기업들의 투자관망 추세 등을 감안하면 선방했다는 평가다. 향후 주요 대기업(LG화학, 포스코케미칼 등 주요 앵커기업) 과 이차전지 및 수소연료전지, 전기자동차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 유치 추진을 비롯, 관광 서비스업 중심의 투자유치를 계획중이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