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남성 취업자가 최근 두 달 연속 27년여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를 나타낸 것으로 집계됐다. 인구 감소에 제조업 부진까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50∼60대 여성 취업자는 정부의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 공공일자리 사업 등의 영향으로 대거 늘어났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40대 남성 취업자는 4월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만5천명 줄었다. 감소폭을 100명 단위까지 보면 4월 11만4천500명, 5월 11만5천300명이다. 이는 1991년 12월(-14만3천명) 이후 27년여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4

0대 남성 취업자의 감소폭은 작년 8월(-10만2천명) 후로는 한 자릿수를 유지하다가 최근 두 달간(각 11만5천명) 두자릿 수로 커졌다. 감소세는 2015년 1월(-2천명)을 시작으로 53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다.

40대 남성의 고용률도 91.0%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 하락했다. 이 기간 40대 전체의 고용률이 0.9%포인트 하락한 데 비해 낙폭이 컸다. 40대 남성 일자리에 타격이 집중되는 것은 해당 연령대의 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제조업 부진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40대 인구는 2015년 5월부터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로 돌아섰고 최근에는 감소율이 1.8%로 커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제조업황이 계속 안 좋아 40대 남성이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에, 지난달 전체 여성 취업자는 1년 전보다 19만8천명 늘어나, 5월 기준으로 2014년(23만9천명) 이후 5년 만에 증가폭이 가장 컸다.

특히 50∼60대를 중심으로 여성 일자리가 대거 늘었다.

지난달 50대 여성 취업자는 11만3천명 늘어 2014년 8월(11만8천명) 이후 4년여 만에 최대폭 증가했다. 60대 이상 여성 취업자도 19만7천명이 늘어 두 자릿수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20대(-1만5천명), 30대(-2만2천명), 40대(-6만2천명) 여성 취업자가 모두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고용률도 50대·60대 여성이 모두 1.8%포인트씩 올라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다른 연령대 고용률은 30대 여성이 0.4%포인트 상승하는데 그쳤고, 20대 여성은 0.6%포인트, 40대 여성은 0.1%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이처럼 중년·노년층을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한 것은 정부가 고령층을 중심으로 공공 일자리를 대거 늘린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