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쓰레기 발생량 87% 소화
20년 넘은데다 내년 계약만료
신축 공사기간 평균 3년 걸려
처리공백 땐 대란 가시화 우려
시는 ‘연장·위탁’ 놓고 고심만

포항시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비상벨이 울리기 직전이다. 현재 사용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이 연한을 넘긴 데다 업체와의 계약기간 만료도 임박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재계약 여부가 불투명한 데다 새로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의 건설마저 지진부진해 자칫 시민생활에 큰 불편을 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새로운 시설을 짓는 기간 등을 고려하면 공백기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9일 포항시 등에 따르면 포항시의 연간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은 지난해 기준 6만434t으로, 하루 평균 166t 정도이다. 이 가운데 약 87%인 145t은 남구 호동 처리장에, 나머지 21t은 경주 대광산업에 위탁처리하고 있다.

문제는 지난 1999년 준공된 민간업체인 호동 처리장이 올해로 21년째를 맞는데다 설비가 낡아 노후화 정도가 심각하다는 것. 환경부의 공식적인 처리설비 수명이 15년임을 감안하면 6년을 더 버틴 셈이다. 호동 처리장은 지난 2016년과 2018년 2차례나 소각로 단열재가 손상되며 가동이 일시 중단되는 등 개·보수를 수차례 거쳤지만 문제가 계속 발생하고 있어 한시바삐 해결책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청소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기존 시설을 철거한 뒤 새로운 시설을 건설해야 한다는 의견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포항시도 해당 사안의 문제점을 해결키 위해 서두르고 있다. 시는 기존 시설을 연장 운영하거나 외부업체에 위탁을 맡기는 2가지 안을 두고 고심중이다. 기존 시설과의 계약이 무산될 경우, 현재로서는 포항시 음식물쓰레기의 물량을 감당할 외부업체를 찾기가 어렵다는 점이 문제다.

시는 지난 3월부터 용역을 통해 현 처리장의 노후화진단, 감가상각비 검토, 개·보수 유지 비용 등을 파악하고 있지만, 영산만 산업과의 계약 기간인 오는 2020년 6월까지는 1년 남짓한 한정된 시간밖에 남지 않아 물리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백기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철거와 신설의 경우 공사기간만 평균 3년이 걸리고, 각종 행정절차 과정을 밟게 되면 추가로 2년의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 업계의 귀띔이다.

정부는 앞서 하수 슬러지와 음식물쓰레기를 통합해 처리하는 것을 권장한다는 공문을 각 지자체에 보냈고 포항시는 이를 반영하기 위해 올해초 TF팀을 구성해 대책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논의 후, 기술적 부분과 예산 부분이 발목을 잡으며 ‘하수슬러지와 음식물쓰레기의 통합 처리가 어렵다’는 결론을 낸 상태다.

순조롭게 진행됐더라면 기존의 포항하수처리장에서 하수슬러지와 음식물쓰레기를 함께 처리하며 바이오 에너지 생산에 이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도 있었다. 시는 뒤늦게 새로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 신설을 위해 시의회에 조례를 상정해 현재 심의 중이다. 조례안은 기피시설인 새로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을 설치할 경우 인근 지역에 인센티브를 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시가 다각도로 움직이고 있지만, 신규 처리장과 별도로 기존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대해 기존 업체와 연장계약을 하거나, 외부 위탁을 맡기는 2가지 방안을 놓고 현재까지도 고심 중이다. 특히 특허권을 가진 기존 업체가 처리비용 인상을 요구할 수 있도 있고, 기존 노후화된 처리장 수리비 등 추가 예산이 소요되는 등의 변수가 있어 외부 위탁 가능성도 고려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포항시의 1일 평균 음식물 쓰레기 처리량이 166t에 이르는데 이를 처리할 만한 수용량을 가진 민간업체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고 찾는다 하더라도 물리적 거리가 있어 수송비 등 이중 비용이 발생할 있어 난감한 상황에 놓여 있다. 포항시의 늑장 행정이 계속되면 음식물 쓰레게 처리 민간업체에 끌려다니며 세금을 낭비하게 될 우려도 커지고 있다. 기존 업체와 계약이 성사되지 않거나 외부 위탁 업체를 끝내 찾지 못한다면 역대 최악의 ‘음식물 쓰레기 대란’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황영우기자 hyw@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