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상륙작전’ 당시에 촬영된 흑백사진.
‘장사상륙작전’ 당시에 촬영된 흑백사진.

1992년 로브 라이너(Rob Reiner) 감독이 연출한 영화 ‘어 퓨 굿맨(A Few Good Men)’은 나라를 사랑하는 방식의 다양성을 담은 흥미롭고도 감동적인 작품이다.

쿠바 관타나모 해병기지에서 가혹행위로 사망한 한 병사를 둘러싼 각종 비밀과 의혹이 군사재판을 통해 하나하나 밝혀지는 과정을 담은 ‘어 퓨 굿맨’은 자신이 처한 위치와 신념에 따라 ‘애국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할리우드 인기배우 톰 크루즈와 데미 무어의 젊은 시절을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하지만, 여러 평론가들이 지적하듯 이 영화의 핵심 키워드는 톰과 데미가 아닌 관타나모 기지사령관 제셉 대령을 연기한 잭 니콜슨이 쥐고 있다.

재판 과정에서 톰 크루즈와 데미 무어 등 젊은 장교 역할을 맡은 배우들은 “아무리 국가를 위한 것이라 할지라도, 거기에 폭력과 비합리성이 담겨 있다면 그건 애국이라 부를 수 없다”고 주장한다.

6.25 한국전쟁 때는 적지 않은 학도병이 전투에 나섰고, 희생됐다.
6.25 한국전쟁 때는 적지 않은 학도병이 전투에 나섰고, 희생됐다.

반면 제셉 대령 역의 잭 니콜슨은 군사법정에서 반대 의견을 개진한다. 이런 것이다.

“조국, 충성, 명예, 희생이란 단어를 너희들은 농담할 때나 사용하지. 하지만, 나와 우리 병사들은 그 단어를 위해 목숨을 걸어왔고 앞으로도 그럴 거야.”

군인이 나라를 지켜야 한다는 건 당연명제고, 그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지녀야 할 애국심 역시 군인의 기본 중 기본이다.

그러나,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외적으로 드러나는 행위의 형태는 다양할 수밖에 없다. 인간은 한 명 한 명이 모두 다른 존재니까. ‘어 퓨 굿맨’은 이런 사실을 설득력 있게 관객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한국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 성공시켜
6·25 전쟁 승리로 이끈 양동작전
중·고교생이었던 학도병 772명 중 139명 희생
영덕군·경북도, ‘장사리 상륙작전’ 소재
영화화 진행… 청년들의 애국심 재조명

영덕군 남정면 장사리에 조성된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공원.
영덕군 남정면 장사리에 조성된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공원.

◆ 똑같은 ‘애국심’을 발휘했기에 가능했던 ‘장사상륙작전’

영화가 현실의 모든 부분을 담아낼 수는 없다. 마찬가지로 현실의 어떤 영역은 영화가 보여주는 ‘만들어진 리얼리티’를 훌쩍 뛰어넘는다.

대부분이 10대였던 청년 139명의 안타까운 죽음으로 파탄지경에 이른 한국을 구해냈던 1950년 9월 ‘장사상륙작전(長沙上陸作戰)’이 바로 그런 경우다. 아직 이 작전이 생소한 이들을 위해 아래 관련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한다.

1950년 6월 25일 시작된 한국전쟁. 초기에 남한 군대는 무기력했다. 지휘부와 군인들은 서울에서부터 남쪽으로 후퇴를 거듭했고, 병력 보충과 물자 보급 등이 원활하지 못했다. 전선은 갈수록 남하했다. 부정할 수 없는 국가적 위기.

전세(戰勢)를 뒤바꿀 작전이 절실했다. UN군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1880~1964)는 인천상륙작전을 계획한다. 그 작전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북한군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려야 했다. 이에 경북 영덕군 남정면 장사리가 ‘또 다른 상륙작전’의 장소로 결정됐다. 양동작전(陽動作戰·적의 경계를 분산시키기 위해 병력을 기동함으로써 적군을 속이는 작전)이었다.

1950년 9월 14일 대부분이 중·고교생이었던 학도병 772명이 LST 문산호를 타고 부산항을 출발한다. 영덕 바다에 이른 그들은 1 5일 새벽 6시 변변치 않은 무기를 든 채 거친 파도를 헤치고 장사리 해변으로 상륙을 시도한다.

‘장사상륙작전’ 당시를 재현한 조형물이 학도병들의 애국심을 떠올리게 한다.
‘장사상륙작전’ 당시를 재현한 조형물이 학도병들의 애국심을 떠올리게 한다.

뭍에 오르기도 전에 적지 않은 병사들이 북한군의 총탄에 전사했다. 하지만, 애국심과 신념으로 무장한 학도병들은 그 어떤 특수부대 못지않게 용감했다.

애초에 3일로 예정된 작전이었지만, 병사들이 타고 온 문산호가 좌초되는 바람에 전투는 기약 없이 길어졌다. 총탄과 식량이 모자랐다. 그러나, 학도병들은 누구도 원망하지 않았다. 상륙 목표지였던 ‘200 고지’를 점령했음은 물론이고, 7번 국도를 차단했고, 더불어 북한군의 주요 보급로까지 효과적으로 틀어막았다.

잘 훈련된 북한 보안부대와의 전투에서도 단 한 명 물러서는 이가 없었다고 한다. 악전고투(惡戰苦鬪)를 통해 젊은이의 애국심을 유감없이 보여준 것이다.

물론 이 과정에선 적지 않은 희생이 뒤따랐다. 눈물겨운 죽음이 계속됐고, 포로로 잡힌 병사들도 적지 않았다.

‘장사상륙작전’이 언급된 맥아더 사령관의 친서.
‘장사상륙작전’이 언급된 맥아더 사령관의 친서.

미국의 군사전문가들조차 “성공할 확률이 5000분의 1도 되지 않는 무모한 행위”라며 반대했던 ‘장사상륙작전’. 하지만 772명 학도병의 나라 사랑하는 마음은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꿔놓았다.

오늘날 한국전쟁사(史)는 ‘장사상륙작전’을 “인천상륙작전을 성공하게 만들었음은 물론, 경주와 부산을 사수하고 서울 수복을 돕는 등 6.25전쟁의 전세를 역전시킨 결정적 계기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맥아더 사령관 역시 작전에 참여한 병사들의 영웅적인 행위에 경의를 표했다고 한다.

놀라운 사실은 ‘장사상륙작전’에 투입된 대원 대부분이 어린 학생들이었다는 것이다. 고작 2주의 군사훈련만을 받은 학도병들이 북한군 정예부대에 밀리지 않고 저항한 것은 기적에 가까운 일이었다. 이 작전의 성공은 젊은이들 모두가 한뜻으로 풍전등화(風前燈火)에 처한 조국을 구하겠다는 ‘애국심’과 ‘희생정신’을 가졌었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영덕군은 이들을 잊지 않기 위해 남정면 장사리에 위령탑과 위패봉안소, 전시교육관과 승리의 광장 등을 만들어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공원을 조성 중이다.

전사한 학도병들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만든 전승기념공원 위령탑.
전사한 학도병들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만든 전승기념공원 위령탑.

◆ 영화로 부활하는 ‘9.15 장사상륙작전’

극적인 요소와 감동의 차원에서 보자면 ‘장사상륙작전’은 ‘어 퓨 굿맨’보다 훨씬 더 강한 영화적 메시지를 사람들에게 던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생각이 기자 하나만의 독단이 아님을 증명하듯 현재 ‘장사상륙작전’의 영화화가 진행되고 있다.

영덕군과 경상북도, 태원엔터테인먼트는 지난봄 ‘장사리 상륙작전’을 소재로 한 영화 제작을 위해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영화 ‘친구’와 ‘사랑’으로 유명한 곽경택 감독과 학도병을 연기할 최민호, 김성철 등이 참석했다. ‘장사상륙작전’에 참여한 류병추 장사상륙참전기념사업회장의 참석은 이날 협약식이 가진 의미에 무게감을 더해줬다.

장사리 해변에 세워진 ‘장사상륙작전’ 기념 조형물.
장사리 해변에 세워진 ‘장사상륙작전’ 기념 조형물.

영화 ‘장사리 9.15’(가제)는 곽경택과 김태훈 감독이 연출을 맡고, 김명민과 할리우드 배우 메간 폭스 등이 출연한다.

이 작품 속에선 전체 참전병사 772명 중 600여 명의 학도병들이 훈련 받는 장면, 태풍으로 인해 문산호가 좌초되는 장면, 북한군과의 전투 장면, 승선하지 못한 병사 39명이 포로가 되는 장면 등이 사실적으로 담기게 된다.

‘장사상륙작전’을 기억하고, 거기에 담긴 나라 사랑의 정신을 후세에 전하기 위해 전승기념공원을 조성한 영덕군은 영화 ‘장사리 9.15’의 제작도 적극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호국(護國)과 의병의 고장’임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영덕으로선 당연한 선택이었다.

이와 관련 이희진 영덕군수는 “혁혁한 전과를 올린 장사상륙작전이 세상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것이 아쉬웠다”며 “곧 선보이게 될 ‘장사리 9.15’를 통해 국민들이 772명 젊은 병사들의 숭고했던 정신을 오래도록 기억해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하기도 했다.

세상에서 가장 귀한 자신의 생명을 버리고 국가를 지켜냈던 139명 장사상륙작전 젊은 전사자들을 위해서라도 ‘장사리 9.15’가 ‘어 퓨 굿맨’을 넘어서는 완성도 있는 영화로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장사상륙작전 보다 쉽게 이해하려면 웹툰으로 보세요

웹툰 ‘잊혀진 전쟁, 장사상륙작전’의 한 장면.
웹툰 ‘잊혀진 전쟁, 장사상륙작전’의 한 장면.

6.25 한국전쟁의 ‘결정적 한 장면’인 인천상륙작전. 그 작전의 성공은 ‘장사상륙작전’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수도 있다.

인천상륙작전은 장사상륙작전에 작지 않은 빚을 지고 있다.

장사상륙작전에 투입된 학도병들은 보급로를 차단해 북한군의 후방 활동을 마비시켰고, 적군 2개 연대와 전차 4대를 영덕으로 유인하는 교란작전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전투를 주도했던 이들이 실전 경험이 전혀 없는 어린 중·고교생이란 사실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아픔을 동시에 전해준다.

현재까지 인천상륙작전은 영화, 드라마, 시와 소설 등의 소재로 많이 사용됐다. 이에 비해 장사상륙작전은 잊혀지고 소외됐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은 말이다.

이런 상황에서 영덕군은 장사상륙작전을 기념하고 알리기 위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웹툰(Webtoon) ‘잊혀진 전쟁, 장사상륙작전’(김동연 원작·어랙군 그림) 제작도 그 사업의 일환이었다.

완성된 웹툰은 장사리 해변에서 목숨을 걸고 싸웠던 772명 학도병들에게 새로운 생명을 선물했다.

지난해 웹툰 전문사이트 코미카(www.comica.com)를 통해 20회에 걸쳐 연재된 ‘잊혀진 전쟁, 장사상륙작전’은 젊은 세대들에게 이 작전의 전개 과정에서부터 아직도 생생한 현장성까지를 가감 없이 보여줬다.

웹툰은 백발의 노인이 된 장사상륙작전 참전용사 윤동준의 회상으로 시작되는 액자식 구성.

이 작품은 LST 문산호에서 해안으로 연결된 로프를 타고 상륙작전을 감행하는 장면, 포탄이 쏟아지는 북한군 진지를 점령하는 전투, 주인공의 애틋한 사랑과 뼈아픈 전우의 죽음 등을 드라마틱하고 감동적으로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덧붙여 영덕군 문화관광과는 “앞으로는 더욱 다양한 콘텐츠로 장사상륙작전의 역사적 의미를 알릴 수 있도록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사진제공 영덕군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