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열대 기후 변화로 ‘고수온화’
양식 어종 집단 폐사 급증세에
명태 등 한류성 멸종상태 도달
정부 대책도 겉핥기식에 그쳐
경북 바다 먹거리 확보 빨간불

아열대로의 기후변화가 뚜렷해지면서 동해안 바다에 대해 연례적인 어류 폐사와 어획량 감소를 막기 위한 정부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우리나라 여름철 바다 수온이 지난 2010년 이후부터 지난해까지 무려 3℃ 가까이 올랐다는 기상청의 분석자료도 나오고 있어 미래 먹거리 중 하나인 바다자원의 보호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다.

30일 통계청 등에 따르면 1850년대부터 경제 및 인구성장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지난 100년 동안 세계 평균기온이 1.55℃, 표층수온은 0.62℃ 상승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해역의 표층(바다 표면) 수온은 최근 50년간 세계 평균 0.52℃에 비해 최근 50년(1968∼2017년)간 약 2.2배 높은 1.12℃나 올랐다. 경북지역을 끼고 있는 동해는 1.7℃, 남해 1.4℃, 서해 0.3℃ 등이 상승했다.

수온 상승으로 1990년 이후 해역의 어획량도 살오징어, 멸치, 고등어류 등의 난류성 어종이 증가하고 명태, 꽁치, 도루묵 등 한류성 어종은 감소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살오징어는 1970년 7만2천142t에서 8만7천24t, 멸치는 같은 기간 5만4천47t에서 21만943t, 고등어류는 같은 기간 3만8천256t에서 11만5천260t으로 늘어났다. 반면 명태는 1만3천418t에서 1t, 꽁치는 2만5천36t에서 1t, 도루묵은 1만6천110t에서 4천965t 등으로 줄었다. 명태와 꽁치는 사실상 한반도에서 ‘멸종’상태에 이른 셈이다.

고수온으로 인한 폐사도 이어지고 있다.

2017년 경북도내에서는 고수온으로 강도다리·전복 등 64만5천마리가 죽었고 2018년에는 강도다리·넙치 등 어류 67만7천507마리, 전복 6만704마리, 우렁쉥이 25줄(1줄 100m)등이 폐사해 피해액이 63억원을 기록했다.

이렇듯 고수온 현상으로 인한 양식어종 폐사 상태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립수산과학원은 표층 수온 점검 후 고수온주의보 등을 발령하고 각 지자체에서는 액화산소, 순환펌프, 얼음 등을 지원하며 긴급처방에 나서고 있지만 근원적인 기후변화에 대한 해결책 마련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바다의 날(31일)을 맞아 정부가 내놓은 대책과는 별도로 어류 보존을 위한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는게 어민들의 주장이다. 시름을 겪고 있는 동해안 어민들을 선제적으로 지원해야한다는 목소리다.

현재까지의 추세에 비춰보면 올해도 지난해 못지 않은 폭염이 예보되고 있어 또다시 대규모의 양식어류 폐사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지난 23일 정부가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78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매년 발생하고 있는 고수온 및 적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1차 대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드론·헬기·조사선 등을 통한 조사와 수온관측망 추가 등 고수온 상황을 근본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아닌 상황이 발생한 뒤 대응하는 방향을 기조로 하고 있다, 어민들은 이를 ‘뒷북대응’으로 보고 체감도 높은 선제적인 대책을 내놓으라는 지적이다.

구룡포 채낚기선주협회 어민 김모(67)씨는 “이미 수년 전부터 동해안의 고수온 현상의 징후가 나타났고 최근에는 연안갯바위의 진주담치와 해파리류의 이상증식, 파란문어나 상어류 등 아열대성 어종의 어획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무엇보다 그동안 동해안의 대표어종들의 어획량이 급감하고 있어 고수온으로 피해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어민 이모씨(58)는 “계절별로 오징어 꽁치, 문어 등을 어획해 왔는데 최근 몇년동안 어획량이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어 전업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며 “고수온 현상은 동해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구 생태계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로 정부차원의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응책을 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황영우기자 hyw@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