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가 백사장에서 주로 서식
사람들 접근 쉽고 천적에 약해
잦은 위협노출 방치하다간
동해안서도 사라질 위기
10년 전부터 개체수 급감하는데
정부 ‘멸종위기종’ 조사도 안해

최근 포항 칠포리 한 해수욕장 인근에서 번식이 목격된 쇠제비갈매기<본지 지난 27일 1면, 4면 보도>가 정부 차원의 멸종위기종 전수조사에서 제외된 것으로 나타났다.

남해와 서해안 등지의 환경파괴로 서식지를 잃은 세계 보호종인 쇠제비갈메기가 청정 동해에서마저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

쇠제비갈매기는 최근 들어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는 국내 조류학자들의 목격담이 이어지고 있어 사태가 더욱 심각한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동해안 쇠제비갈매기들의 서식지는 모래톱 등 해안가 백사장에 집중돼 사람들의 접근이 쉽고 너구리와 개, 들고양이 등 천적으로부터의 공격을 받을 수 있는 등 훼손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게 학계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렇게 방치될 경우 쇠제비갈메기는 남해안, 서해안 서식지를 떠난 것처럼 동해안에서도 자취를 감출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7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지난 2017년에 멸종위기종 전수조사가 마쳤고 5년 후인 2022년에 재차 전수조사를 통한 멸종위기종 선정과 해제가 이뤄질 예정이다.

야생생물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류 제2조에 따라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어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종이다.

2급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고 있어 현재의 위협요인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지 아니할 경우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야생생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종을 말한다.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면 환경부 차원에서 5년마다 야생생물보호 기본계획이 수립되며 해당 종 포획 금지 등 불법행위 처벌 강화는 물론이고 종에 대한 가치도가 높아져 보호할 수 있는 법적 근거로 작용된다.

쇠제비갈매기는 본래 낙동강 하구 삼각주 일대에 주로 서식을 하는 종으로 한때 6천여마리가 머물렀던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10년전부터 개체수가 눈에 띄게 감소해 최근에는 번식쌍이 아닌 일반 개체 6마리뿐만인 것으로 육안으로 관측돼 사실상 번식지로서의 기능이 끝난 것으로 분석됐다.

이후 새로운 번식지를 찾아나선 쇠제비갈매기들이 이례적인 사례로서 내륙지인 안동호를 선택했고 나머지 개체들도 제각기 흩어져 최근에는 동해안 해안가에서도 새 둥지를 만들고 있는 것으로 관측됐다.

서해안 일대 간척지인 새만금과 인천 영종도 부근에서도 서식하는 쇠제비갈메기가 발견되고 있지만 이곳 역시 공단지역 조성이 추진되고 있어 보금자리를 잃어버릴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쇠제비갈매기에 대한 개체수 분석 등 조사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다른 종이 우선되고 있다”며 “현재 쇠제비갈매기는 멸종위기종에 포함돼 있지 않고 전수조사도 이뤄지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세계자연보존연맹(IUCN)에서 멸종위기종에 해당하지 않는 등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학계 전문가들은 이같은 의견에 정면 반박하고 있다.

우선, 쇠제기갈매기(영문명: Liitle tern)가 세계자연보존연맹의 멸종위기종 분류 중 관심종(Little concern)에 속한다고 설명했다.

전세계적으로 지역에 따라 종의 유지가 심각하다는 분류도 나오고 있고, 10분의 1에서 100분의 1까지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한 사례도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고 전했다.

박희천 조류생태환경연구소 소장은 “쇠제비갈매기가 내륙에서 이례적으로 발견된 안동호의 경우에도 지자체가 나서 인공섬을 조성하지 않았다면 멸종 위기에 직면할 수도 있다”며 “또다른 서식지인 인천 영종도에서도 공단지역이 곧 조성될 예정이어서 국내에서 쇠제비갈매기가 둥지를 틀 곳이 갈수록 없어지는 위험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황영우기자 hyw@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