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이 날로 늘어나는 해양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전국시·도의장협의회(협의회)가 바다 쓰레기 정화사업을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서서 주목된다. 협의회는 20일 전남 여수 엠블호텔에서 열린 2019년 제4차 임시회에서 논의 끝에 이같이 밝혔다. 인류에게 혹독한 앙갚음을 하고 있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주류인 바다 쓰레기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세계적 골칫거리로 등장해 있다.

협의회는 해양쓰레기 정화사업은 연간 18만t이 바다에서 발생하고 있고 해류와 계절풍 등의 영향으로 광역 이동성이 있는 만큼 정부가 주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광역거점별 해양쓰레기 종합처리시설 설치도 정부 사업으로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며칠 전 인도양에 있는 청정의 섬 코코스 제도(여러 섬)가 ‘쓰레기 섬’으로 변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와서 충격을 던졌다. 영국 일간신문 가디언은 “거주민이 600여 명밖에 되지 않는 유명한 관광지 코코스 제도의 섬들에서 무려 4억1천400만 개의 플라스틱 쓰레기 조각들이 발견됐다”고 최근 보도했다. 이는 무게로 238t에 달한다. 해양학자들이 섬에서 수거한 쓰레기를 종류별로 세어본 결과 신발 97만7천 켤레, 플라스틱 칫솔 37만3천 개 등이었다. 일회용 플라스틱의 급증으로 현재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조각은 5조2천500억 개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 연간 발생하는 2천여 건의 해양사고 가운데 약 300여 건이 폐그물 등 해양쓰레기로 인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특히, 바닷속에 가라앉은 폐어구로 인해 어류가 죽는 것을 보통 유령어업이라고 하는데, 버려진 폐어구에 물고기가 들어와 죽고, 죽은 고기가 미끼가 되어 다른 물고기가 다시 폐어구로 들어와 죽는 등 막대한 수산물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유령어업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연간 어획량의 10%에 해당하는 약 3천억 원 이상으로 예측된다. 협의회는 이날 해양쓰레기 정화사업 예산을 균특회계에서 일반 국고사업으로 전환하고 지원율도 70%까지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5천억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아직 큰 성과를 거두었다는 낭보는 없다. 해양쓰레기는 대부분 육지에서 발생하고 강물을 통해 바다로 유입되어 확산된다. 일단 바다로 확산된 쓰레기는 수거하기 어렵다. 종합적인 처방과 철두철미한 실행이 없이는 근본적인 개선이 불가능하다. 해양생물의 서식환경을 파괴하고 오염된 수산물이 식탁에 올라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악순환이 거듭되는 바다 쓰레기를 원천적으로 억제하고 유입을 차단하는 획기적인 국가적 조치들이 빈틈없이 추진돼야 한다. 조금 더 늦으면 아주 늦으리라는 환경전문가들의 경고를 새겨들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