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 인구절벽 현상이 자못 심각하다. 10년 뒤에는 경북 지역에서 포항 같은 50만 인구 도시가 아예 사라질 전망이다.

도내 23개 시·군 중 소멸위기에 처한 지자체가 19개에 이르고, 그중 7곳이 전국 상위 10개 안에 들어 있다는 어두운 전망도 요지부동이다. 인구절벽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야만 한다. 일자리 창출 만이 지속 가능한 인구정책이다.

지난 2017년 경북도가 실시한 시·군별 장래 추계인구 조사분석에 따르면 오는 2030년이면 도내 유일의 50만 인구 도시인 포항시의 인구가 49만 명대로 떨어지는 것으로 전망됐다. 경북도청 소재지인 안동시의 경우도 마지노선인 16만 명이 이르면 올해 상반기에 무너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하루 평균 2.6명이 태어나고 4.5명이 사망해 출생대비 사망 비율이 약 2배에 달했다.

상주시는 수년 전부터 ‘인구 10만 명 사수 작전’을 벌여왔다. 상주시는 인구가 가장 많던 1965년 당시 25만5천여 명을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 10년 동안 인구수가 매년 꾸준히 감소해 지난 2월 8일에는 9만9천986명으로 떨어졌다. 사상 최초로 인구가 10만 명 밑으로 추락한 것이다.

경북도에서 전체적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앞지른 것은 지난 2016년부터였다. 2016년 도내 23개 시·군에서 태어난 출생아는 2만616명이었다. 반면 사망자는 2만978명으로 362명이 더 많았다. 2017년에는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3천321명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시간이 갈수록 상황이 더욱 악화하고 있다.

인구감소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장기적이고도 적확한 정책이 필요하다.

프랑스는 국내총생산(GDP)의 5% 가량을 쏟아부어 1.8명 선의 출산율을 회복했다. 일본은 2005년 1.25명에서 2017년 1.43명으로 매년 조금씩 끌어올렸다.

우리가 추진하고 있는 현금살포 중심의 복지 위주 정책은 성공하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비판이다. 교육·고용·주거·복지·양성평등을 아우르는 종합 대책이 추진돼야 정상적 출산율 회복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돈이 아니라 ‘삶’ 중심의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문경시가 다자녀 장학금, 전국 최고의 출산장려금 정책, 은퇴자 공동체 마을 운영, 귀농인 상수도 급수 지원, 내 고향 돌아오기 등 적극적인 정책을 통해 미미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소식은 눈물겹다. 하지만 인구절벽을 막는 최고의 환경변화는 넉넉한 ‘일자리’일 수밖에 없다.

일자리가 있고, 수준 높은 자녀교육이 가능한 도시가 아니고는 궁극적으로 인구증가를 달성하기란 불가능하다.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내지 못하면 가파른 인구절벽 현상은 막을 길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