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 상용화 시대가 열렸으나 지방의 도시들은 5G 서비스 영역에서도 여전히 차별적 대우를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에 제출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5G 기지국 신고 장치 현황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전국 17개 시도에 설치된 8만5천261개 기지국 장치 중 64.4%인 5만4천899개가 서울 등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등 5대 광역시에 설치된 5G 장치는 총 1만8천84개로 전체의 21.2%에 머물렀다.

대구는 1천781개로 전국의 4.1%로, 서울의 10분의1에 불과했다. 전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보유한 경북은 전국에 설치된 5G 기지국의 1.5% 수준인 647개가 설치되는데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대 통신사 가운데 LG유플러스는 수도권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 대한 설비투자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LG유플러스는 기지국 1만1천363곳 가운데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무려 94.8%나 집중 설치했다. KT도 수도권에 64.2%를 설치, 지방에 대한 배려가 크게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기지국 설치는 지역별 인구와 단순 비교해도 지방에 대한 홀대가 확실하다. 서비스 차별이라는 현실을 떠나 비수도권 고객에 대한 배려가 보이지 않았다는 것에 대한 유감이라 말 할 수 있다. 통신사별로 자세한 사정은 알 수가 없으나 지방의 소비자 입장에서는 5G의 서비스 개시부터 서비스 홀대를 받는 꼴이 되고 말았다.

서울에서 조차 기대만큼 접속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데 지방이야 더 말할 것도 없는 것 아닌가 싶다. 물론 5G 상용화가 이제 막 시작이라는 점에서 아직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앞으로 업계의 네트워크 구축 경쟁을 통해 이런 문제들이 점차 해소되리라 믿는다. 그러나 비수도권에 대한 기지국 배려가 처음부터 잘못된 출발을 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지방은 수도권에 비해 늦어져도 된다는 잘못된 사회 인식이 우려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지방화 시대라 하지만 정부든 업계든 여전히 수도권과 비수도권과의 차별적 생각이 남아 있는 것이 확인이 된 것 같아 씁쓸할 뿐이다.

5G 이동통신을 우리는 흔히 4차 산업의 혈관으로 비유한다. 4G보다 무려 20배나 빠른 통신환경의 5G는 앞으로 우리의 일상을 상상 이상으로 바꿔놓을 것으로 예측한다. 자율 주행차나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생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상상을 초월한다고 한다. 관련 산업은 우리가 가히 짐작할 수 없을 만큼 폭발력을 가진 영역이다. 그래서 비수도권에 대한 이번 소외감은 단순히 서비스 불만 차원을 넘어 본격적 5G 시대가 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한 것이다. 지방 소외론이 나오지 않는 당국의 정책적 배려기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