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북도내에서 교통사고로 숨진 사망자 수가 전국에서 두 번째(418명)로 많았다고 한다. 경기도가 모두 654명이 교통사고로 사망함으로써 전국 최고 사망자 수를 기록했으나 인구 분포로 따져볼 때 사실상 경북이 전국 최고의 교통사고 사망률을 보인 것 아닌가 싶다.

경북경찰청 관계자는 경북지방에서 교통사고 사망자가 많이 발생한 것에 대해 일반도로와 고속도로의 길이가 타 지역에 비해 월등히 길고 노인인구 비율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데 원인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경북에서는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이 204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49%에 달했다고 했다.

경찰청의 사고분석 내용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하지 않는다.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평가 내용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천편일률적인 해석을 하기에는 좀 더 살펴볼 내용이 있다. 특히 지역마다 교통여건과 문화 수준의 차이를 빼놓고 설명하기가 곤란한 점이 있다는 뜻이다.

교통사고 지수는 그 사회의 수준을 나타낸다고 했다. 그 사회가 교통문화를 사람 중심으로 얼마나 품격 있게 만들어 가느냐에 따라 교통사고의 흐름을 바꿀 수 있다는 것으로 풀이되는 말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1976년 이후 42년 만에 3천명대로 떨어졌다. 가장 많은 교통사고 사망자를 기록한 1991년(1만3천429명)의 3분의 1수준이다. 과거보다 교통량이 늘어났음에도 교통사고 사망자가 줄어든 것은 교통정책의 변화, 도로관리 시스템 개선, 교육 등 교통 인프라와 교통문화 의식이 그만큼 선진화된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경북지방의 교통사고 사망자가 타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은 교통문화 의식의 부족에서 문제를 찾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시도별 교통문화지수에서 경북은 17개 시도 가운데 16위를 차지했다. 전국 평균 지수 75.3보다 낮은 73.4를 기록한 것이다. 지역별로는 상주시와 고령군, 청도군이 하위 10% 등급에 속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취약한 도로 구조나 교통시설의 현대화 등에 투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와 동시에 교통사고에 대한 안전의식을 길러주는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 그래야만 교통사고 감소효과도 커지는 것이다. 지난해 경북지역 교통사고 사망자 수도 전년보다는 줄어들었다. 교통당국의 지속적 노력의 결과라 생각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타 지역은 이곳보다 더 많은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줄였다고 하면 우리지역에서의 분발과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경북도와 경북경찰청 등이 선진교통문화 정착을 위한 생명살리기 프로젝트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한다. 생명을 살린다는 각오로 교통사고 줄이기에 모두가 총력을 쏟아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