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곤대백프라자갤러리 큐레이터
김태곤
대백프라자갤러리 큐레이터

세상의 모든 사람들은 시공을 초월해 한번쯤은 사랑을 경험하게 되고, 지금도 사랑을 경험하고 있는지 모른다. 이렇듯 사랑은 인간이면 누구나 겪게 되고, 알게 되는 보편적인 감정이다. 또한 사랑은 사람마다 고유한 특징을 가지며 각양각색의 모양으로 표현되어진다. 그중에서도 이성간의 사랑, 즉 에로스(Eros)는 강한 정서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연인들의 신체적 매력에 끌려 열정적 사랑을 경험하게 된다.

젊은 연인들이 서로의 감정을 숨김없이 표현하는 문화 중 가장 대표적인 기념일을 꼽으라면 단연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Valentine Day)를 떠올리게 된다. 유행에 민감한 젊은이들을 자극하여 과소비를 부추긴다는 비난에도 불구하고 젊은이들의 기념일은 성탄절 다음으로 단연 밸런타인데이, 화이트데이, 빼빼로데이를 꼽는다. 실제 일부 여중고생들의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선물들이 점점 과소비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고가 선물들이 다량 판매되고 있는 것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정보화, 국제화, 세계화 시대의 개방문화가 조성한 새로운 소비문화이자 신생 소비의식으로 인식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세계 미술계에서 사랑을 아름답게 표현한 예술가를 꼽으라면 필자는 미국의 팝아트의 거장인 로버트 인디애나(1928∼2018)를 적극 추천하고 싶다. 뉴욕의 중심가에 거대한 조형물로 제작된 ‘Love’라는 작품은 미술을 모르는 일반 관광객이라도 한번쯤은 가까이에서 감상을 하게 되고 카메라에 담고 싶어 한다. 그의 작품에서 가장 큰 특징은 간결하고 문학적 상징이 내포된 기하학적 작품을 주로 제작한다는 점이다. 문자와 상업디자인을 이용한 그래픽디자인 방식을 이용해 논리적이고 강렬한 시각적 이미지를 형상화 시켰으며, 극단적으로 간결하면서도 단순한 표어문자가 주는 문학적 상징성을 깊이 있게 담아내고 있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 ‘Love’는 문자라는 추상적 매체를 이용하여 작품을 대하는 관람자들에게 분명하고도 구체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영어를 모르는 문맹인이라도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알파벳 4개로 구성된 조형물은 색채의 대비에서 오는 강한 인상을 남겨주기에 충분하다.

Love라는 단어를 작품으로 처음 표현하게 된 계기는 1964년 뉴욕현대미술관에서 그에게 크리스마스카드 디자인을 의뢰한 것이다. 당시 단순한 사랑이라는 단어에 강렬한 색채인 붉은색, 파란색, 초록색 세 가지 색깔로 표현하여 구성된 Love카드가 엄청난 인기를 얻게 되었다. 카드 성공에 힘입어 1966년 입체작품으로 ‘Love’를 제작해 뉴욕 스테이블 갤러리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며 이후 ‘Love’는 1970년대 미국 내 우표, 포스터, 티셔츠, 머그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면서 미술품이라는 한계를 넘어 문화적 아이콘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하지만 불행히도 초기의 디자인에 관한 저작권을 보장받지 못해 ‘LOVE’는 상업적으로 수없이 많이 무단 복제되어버렸고, 경제적 이득은 전혀 얻지 못하는 불운을 경험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은 그를 가장 상업적인 예술가로 혹평했다. 그가 남긴 유명한 말 중 “모든 사람들이 나의 작품 ‘Love’를 알고 있지만, 나에 대해서는 모른다. 나는 익명이다.” 라는 의미는 유명 예술품 뒤에 숨겨진 예술가의 고단한 삶의 여운을 느끼게 해준다.

밸런타인데이를 보내며 사랑의 가치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봤다. 우리는 Love라는 단어가 갖는 화려함에 빠져 육체적 사랑이 주는 쾌락에만 빠져 있지 않은가를 되돌아보게 된다. 분명 Love라는 단어 속에는 에로스적인 의미도 있지만 헌신적인 사랑인 아가페와 정신적인 사랑 필리아, 친구간 사랑인 스토르지 역시 사랑의 진정한 가치를 간직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로버트 인디애나의 “LOVE는 나를 살리기도 했지만 아프게도 했다.”는 말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