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연구팀, 슈퍼코일섬유 개발
신축성 탁월·전기적 특성 저하 확인

DGIST 스마트섬유융합연구실 손원경(왼쪽) 연구원과 최창순 선임연구원. /DGIST 제공
DGIST 연구팀이 슈퍼코일섬유를 개발해 착용 가능한 고성능 배터리의 상용화가 앞당겨지게 됐다.

DGIST(총장직무대행 배영찬)는 18일 최창순(스마트섬유융합연구실) 선임연구원팀이 최대 16배 늘어나면서 동시에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는 고탄성·다기능 섬유(슈퍼코일섬유)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섬유를 활용해 실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전자제품을 개발하는 1차원(1D) 도체 연구·개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생체 센서, 이식 가능 미세 디바이스 등 다양한 소자분야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어 최근 연구 관심도가 높은 분야다.

최 선임연구원팀은 DNA구조에서 영감을 받고 이를 모방한 섬유를 만들려했다.

이에 따라 기존과 달리 탄소나노튜브로 둘러싼 스판덱스 섬유를 꼬아서 슈퍼코일 구조(코일의 코일화)를 구현했고 개발된 섬유는 길이 방향으로 최대 16배까지 늘어나면서도 전기전도도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꼬아 만든 섬유는 마치 전화기선처럼 자신의 원래 길이보다 늘어날 수 있는 특성을 갖췄고 고신축성이 필요한 신호전송용 케이블 외에도 로봇 팔과 그 외골격, 또 고도의 유연성이 요구되는 전자 회로 등 여러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최창순 선임연구원팀은 슈퍼코일섬유를 활용해 높은 정전 용량(Capacity, 절연된 도체 간에 전위를 주었을 때 전하를 축적하는 것)을 활용해 에너지 저장용량을 11배까지 늘릴 수 있는 등 새로운 축전지 개발의 가능성도 보여줬다.

이로 인해 전지의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부품을 구현하는 실험에 성공해 앞으로 착용 가능한 고성능 배터리 상용화에도 한 발짝 더 다가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DGIST 스마트섬유융합연구실 최창순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섬유전극의 초고신축성을 확보하고 기존 기술의 한계였던 전기적 특성 저하를 최소화했다”며 “이번에 개발한 슈퍼코일섬유에 다른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연구를 더 진행해 머지않아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에서 효과적이고 범용적인 기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달 2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고 에너지소재(Energy Materials)분야에서 주요논문(Featured Article)으로 선정됐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