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예비타당성 면제사업으로 선정된 김천~거제 간(172km) 남부내륙철도 건설에 성주역사가 빠진 것으로 확인되면서 성주 군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지난달 29일 정부가 발표한 예비타당성 면제사업의 취지가 국토의 균형발전에 있으면서 남부내륙철도의 경북구간(35km)에는 신설역사가 한 군데도 없어 국토균형발전 취지를 무색게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017년 작성한 남부내륙철도 보고서에 따르면 김천~거제 단선 구간 중 신설 역사 4곳이 모두 경남지역에만 위치한 것으로 밝혀졌다. 남부내륙철도는 기점과 종점을 포함해 성주, 고령, 합천, 의령, 진주, 통영 등 9개의 시군을 통과하고, 구간 내 6개 역사와 1개의 신호장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계돼 있다는 것. 6개 역사 중 김천역과 진주역은 기존의 경부선 김천역과 경전선 진주역을 공동으로 사용하고 합천, 고성, 통영, 거제역은 신설하는 것으로 설계돼 있다고 한다.

비록 연구단계의 보고서라지만 성주 군민들의 실망감은 말할 것도 없으며 반발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경북지역은 열차가 지나가는 길만 내줘 오히려 지역발전의 장애물이 늘어나는 꼴이 되고 말았다. 경북지역 통과 구간(김천~성주~고령)이 경남지역 구간 107km의 3분의 1이나 되면서 역사 신설을 계획하지 않은 것 자체가 이해 못 할 일이다.

성주군은 그렇잖아도 사드(THAAD) 배치 문제로 홍역을 치른 곳이다. 사드 배치를 둘러싸고 찬반 논쟁이 격하게 벌어지면서 시위와 갈등으로 군민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아직도 사드배치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어정쩡한 상태에 있다. 언제쯤 정부의 태도가 확정될지 기약도 못한다. 덩달아 사드배치와 관련한 당초 약속은 백년하청인 셈이다.

성주군민의 이런 속 타는 사정은 헤아리지도 않고 지역균형발전이란 이름으로 남부내륙철도 건설사업을 강행한다면 그야말로 눈먼 행정이 따로 없다. 경북도는 정부의 예타 면제 소외지역이라 말할 수 있다. 사업비 면에서나 사업의 절박성 등에서 기대만큼 성과를 못냈다는 뜻이다. 남부내륙철도가 비록 경상남도의 예타면제 사업으로 선정됐어도 통과 구간에 경북지역 3개 시군이 포함돼 있다. 역사 건설이 주는 지역개발 효과라도 건져야 한다. 지역균형발전 취지에도 맞는 일이다.

한국개발연구원의 정책 연구보고서라고 안일하게 판단 말고 이제부터라도 성주역사 건립에 대한 당위성을 알리고 정부를 설득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성주군과 경북도의 역할이 중요하다. 성주군민의 뜻이 바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자치단체장이 발로 뛰어야 한다. 정치권의 협조도 얻어 지역발전이 담보될 수 있는 남부내륙철도 건설사업이 되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