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편의 시 하나의 풍경
어느 시골마을과 이성부 시인

 

세상 모든 어머니는 자식을 기다리며 산다. 그 기다림의 힘으로 모진 세파를 이겨낸다.
세상 모든 어머니는 자식을 기다리며 산다. 그 기다림의 힘으로 모진 세파를 이겨낸다.

 

어머니 이성부

그 겨울 아침 함박눈 내려쌓이던 골목

뒤돌아보며 바쁜 걸음

모퉁이 사라지시던 어머니

박수근의 기름 장수 목판화(木版畵)

한 폭으로 살아서

오늘은 내 책상머리를 울고 가시네

함박눈 아니라도 좋아라

소나기 아니라도 좋아라

흩날리는 꽃이파리 아니라도 좋아라

하늘 가득히 내리는 말씀 아래

굵게 패인 각도(刻刀) 자국 속에

불끈 쥔 두 주먹 걷어붙힌 팔뚝

멀리서 오는 기차 소리를 들으며

신병(新兵)이 되어 떠나간 아들을 생각하고

철없이 구는 어린것들을 생각하고

흰 눈에 각혈 한 번 하고

한세상 가슴앓이 눈 들어 먼 산을 바라보시네

어떤 모진 6·25로도 어떤 불행으로도

빼앗길 수 없었던 목숨 질긴 목숨

오늘은 서울 모래내에서 문산(汶山) 가는

기차 소리를 들으며

내 책상머리 울고 가시네.

풍파를 헤쳐 온 어머니의 주름진 손.
풍파를 헤쳐 온 어머니의 주름진 손.

20대 후반부터 홀로 떠나는 여행을 오랫동안 즐겨왔다. 그 여정에서 만난 바다와 호수, 석양과 일출은 ‘인간이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 것일까’란 존재론적 질문을 떠올리게 했다. 그 질문 속에서 기자의 정신은 커왔다.

한적한 어촌이나 조용한 농촌으로의 여행에선 드물지 않게 ‘늙은 어머니들’을 만났다. 너나없이 처음 보는 사람의 손을 잡고 “반찬은 없지만 내 집에서 점심이라도 먹고 가라”며 청하는 순박한 존재들.

세파에 시달린 주름진 얼굴과 고생의 흔적이 역력한 쭈글쭈글한 손. 그럼에도 세상 모든 어머니들은 어떤 영화배우보다 아름다웠다. 그네들의 넉넉하고 다사로운 마음씀씀이 때문이다.

일흔을 훌쩍 넘긴 한 ‘늙은 어머니’로부터 달콤한 감을 3개나 얻었던 지난해 바닷가 여행에서 기자는 역시 일흔을 넘긴 ‘내 엄마’를 떠올렸다.

▲ 삶이 아플 때마다 떠올린 ‘엄마 얼굴’

서울에서 생활했던 20~30대. 고향의 엄마와 1년에 두어 번밖에 보지 못했다. 짧디짧은 만남을 엄마는 늘 아쉬워했다.

기자 역시 가끔 전화로 안부를 물을 때 수화기 너머로 환하게 미소 짓는 그녀의 얼굴을 떠올리는 것만으로 안타까움을 달래야했다.

그러던 어느 겨울날. 아들이 좋아하는 생선구이와 된장찌개 재료를 싸들고 엄마가 서울에 왔다.

KTX가 생기기 전이었으니 자그마치 6시간이나 기차를 타고.

연락을 받고 일찍 집에 도착하니 이미 밥상 위엔 군침 도는 성찬이 차려져 있었다.

“같이 먹어요”라는 권유도 없이 바쁘게 수저를 놀리다가 문득 고개 들어 엄마를 봤다. 어린 새끼에게 먹이를 물어다준 어미 짐승의 눈빛으로 아들을 바라보고 있었다. 아마 기자가 밥을 먹는 내내 그런 눈빛이었을 것이다.

그 순간 돈오(頓悟)가 왔다. 세상 모든 아들은 쓸쓸하면서도 환한 엄마 얼굴을 떠올리는 것으로 생의 힘든 고비를 넘겨왔고, 엄마의 눈빛이 우리를 복마전의 세상에서 지켜줬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았다.

갖은 풍파와 세파에 찌든 엄마 얼굴이 예뻐 보일 수도 있다는 걸 그날 알았다. 자연스런 수순처럼 ‘애틋한 엄마의 정’이 행간마다 묻어나는 이성부(1942~2012)의 시 ‘어머니’가 떠올랐다.

 

추위와 싸우며 아들과 딸을 지켜온 세상의 어머니들.
추위와 싸우며 아들과 딸을 지켜온 세상의 어머니들.

▲ 어머니란 언제나 ‘기다리는 존재’

조건 없고 대가를 바라지 않는 ‘자식 향한 어머니의 애정’은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는다. 이성부 시인이 젊은 시절을 보냈던 50년 전이나, 2019년 오늘이나 다를 바 없다. 앞으로 100년이 흘러도 그럴 게 명약관화(明若觀火) 하다.

절대다수의 국민들이 곤궁 속에서 힘겹게 살아가던 1960년대. 잘 먹이지도 잘 입히지도 못했던 아들을, 제 목숨보다 소중한 아들을 군대로 보내야하는 어머니의 심정은 어땠을까?

훈련소로 떠나는 기차 소리를 들으며 아들의 책상머리에서 울고 있을 수밖에 없었던 이성부의 어머니. ‘어머니가 돼 보지 못한’ 독자들이라면 그 서러움에 완벽히 공감하기 어려울 듯하다.

‘흰 눈에 각혈 한 번 하고/한세상 가슴앓이 눈 들어 먼 산을 바라보는’ 한 세대 전의 어머니들. 지금도 마찬가지다. 세상 어머니들이란 언제나 ‘어떤 불행으로도 빼앗길 수 없었던 질긴 목숨’으로 떠나간 아들을 기다리는 사람.

기자의 어머니도 그랬다. 언제나 아들을 기다렸다. 군대에 갔을 때도, 먹고 살기 위해 타향을 떠돌 때도, 늦은 밤까지 술독에 빠져 있을 때도, 연인에게 매혹돼 아들이 자신을 잠시 잊었을 때도 기다림은 한결같았다. 엄마 앞에서라면 아들은 철들기가 쉽지 않다. 곧 쉰 살이 되지만 기자 또한 그렇다. 부끄러운 에피소드 하나가 기억된다.

 

시대를 불문하고 이 땅 어머니는 누구보다 부지런하고 용감했다.
시대를 불문하고 이 땅 어머니는 누구보다 부지런하고 용감했다.

▲ 늙어가는 어머니의 힘이 되는 자식으로...

몇 해 전 여름이다. 퇴근길에 맥주 한잔으로 피로를 씻어내던 저녁 무렵. 엄마에게 전화가 왔다. “낡은 냉장고가 고장났으니 새 걸 하나 사야겠다”는 이야기.

돈을 보태줄 것도 아닌데 더는 할 말이 없었다. “그래? 그럼 사야지”라는 건조한 대답을 돌려줬다. 그때 엄마가 조용한 목소리로 말했다.

“이번엔 좀 크고 좋은 걸 살란다. 내 인생 마지막 냉장고인데….” 그 말이 중년이 된 아들을 유년의 기억 속으로 데리고 갔다.

우리 식구가 살던 조그만 집에 냉장고가 처음으로 들어온 건 1979년 여름. 금성사에서 만든 180리터짜리 소형 냉장고였다. 그때 엄마 나이는 서른셋.

엄마는 작은 냉장고 하나에도 크게 행복해했다. 얼음 띄운 콩국수를 상에 올리고, 차가운 보리차를 꺼내오며 자주 웃었다. 냉장고는 엄마의 ‘친절한 파트너’였다.

한국 가전제품은 튼튼하고 오래 쓴다. 엄마의 첫 냉장고는 15년을 우리 집에 머물다 고물상으로 갔다.

1994년엔 엄마의 동생이 “이사를 축하한다”며 450리터짜리 냉장고를 선물했다. 커진 냉장고의 용량만큼 엄마의 기쁨도 커졌다. 생애 두 번째 냉장고에 채워 넣을 것들을 사며 미소 짓던 마흔여덟의 엄마.

다시 20년 가까운 세월이 쏜살처럼 흘렀다. 그 시간 속에서 냉장고와 엄마는 함께 늙어갔다. 엄마가 전화했던 날은 두 번째 냉장고가 ‘사망 선고’를 받던 날이었다.

“큰 냉장고를 사고 싶다”는 말을 듣는 순간 왜 목이 메어왔는지 아직도 모르겠다. 엄마도 결국 여자란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미안함 탓이었을까?

11년 전 남편을 하늘로 보내고 홀로 남은 엄마. 이제는 세 번째 냉장고의 속을 음식으로 가득 채우고 떠났던 아들이 돌아오는 명절을 기다리며 산다.

이성부 시인의 어머니가 애틋하고 간절한 마음으로 군대 보낸 아들을 기다렸던 것처럼.

엄마의 전화를 받았던 그날. 터무니없이 써대는 술값을 아껴 냉장고 값을 보내겠다고 약속했지만…. 아직까지도 그 약속은 지켜지지 못하고 있다. 일흔셋 엄마를 둔 마흔아홉 아들은 언제쯤이면 철이 들 것인지.

새해 벽두. ‘올해는 속절없이 늙어가는 엄마의 힘이 되는 아들이 되겠다’는 결심을 했다. 이 약속 또한 지키기가 쉽지 않을 것임을 안다. 그러나 하루가 다르게 주름이 늘어가는 엄마를 보자면 더 늦출 수 없는 다짐이다.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사진제공/구창웅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