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성의 한우 농장에서 두 번째 구제역 확진 판정이 나오면서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민족의 대이동이 시작되는 설 연휴를 앞두고 구제역이 발생하면서 구제역 확산에 대한 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다고 한다. 선제적 방역이 시급한 상황이 벌어진 셈이다.

30일 현재 구제역이 발생한 경기도와 인접한 충청남북도 등 인접지역은 방역 비상체제에 들어가 가축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제한한다는 소식도 들린다. 경북도도 구제역 위기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조정하는 등 발 빠른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한다. 경북도와 시군, 동물위생시험소 등 유관기관은 상황실을 열고 24시간 비상근무에 들어간다고 한다.

지난 28일 경기도 안산시 금광면 농가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올겨울 들어 처음 발생한 구제역 확진 판정이라는 점에서 전국적 관심을 모았다.

그러나 발생 하루만인 29일 이곳에서 10~20㎞ 떨어진 인근 가축 사육농가에서 또다시 구제역 확진 판정이 나오면서 당국을 초긴장 상태로 몰고 가고 있다.

축산 방역당국은 첫 발생지인 금광면 사육농가의 젖소 120마리를 살 처분하고 뒤이어 발생한 양성면 농가의 구제역 판정 소에 대해서도 매몰 처분에 나섰다고 한다. 그리고 인접농가가 사육중인 소와 돼지 등에 대해 정밀검사를 펴는 한편 반경 3㎞ 이내에 4천300마리 우제류(발굽이 2개인 가축)가축을 사육 중인 83개 농가에 대해서는 가축의 이동을 통제하고 있다.

구제역은 구제역 바이러스에 옮겨지는 급성 전염병이다. 치사율이 5~55%에 이른다. 특별한 치료법이 없고 백신에 의한 예방법에 의존하는 것이 다다. 2011년 우리나라는 구제역으로 살 처분 한 가축이 300만 마리를 넘었다. 매몰지가 전국에 걸쳐 4천700 곳이나 됐다. 사상 최악의 구제역으로 토지의 2차 환경오염을 우려해야 할 정도였다. 구제역은 농촌의 경제를 위축시키고 축산물 가격 폭등과 같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후유증이 심각하다.

뾰쪽한 대응책이 없는 상황에서 구제역은 가축당국과 가축 사육농가의 예방적 조치가 가장 중요하다.

특히 지금과 같은 상황이면 초기 진압으로 구제역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 민족의 대이동이 시작되는 설 명절이 코앞에 닥치다 보니 더 긴장감이 가는 분위기다. 방역당국은 방역예방 매뉴얼에 따라 철저한 이행과 실천을 해야한다. 설 연휴일지라도 축산 관계시설과 철새도래지, 농가, 전통시장 등에 대한 방제 및 예방 활동에 조금이라도 느슨함이 있게 해선 안 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도내 농가는 내 농장을 지킨다는 의지로 방역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구제역 방어에 민관이 합심해 청정 경북을 지키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