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민호의 書架에서

김윤식의 ‘이상연구(문학사상사, 1987)’의 표지.
김윤식의 ‘이상연구(문학사상사, 1987)’의 표지.

 

좋은 책들이 빼곡히 꽂힌 서가는 구경하는 재미가 있기도 하지만, 가만히 그 곁에 서 있으면 오히려 나 자신이 위로받는 느낌이 들곤 한다. 누군가 오랫동안 고심하여 엮은 한 권의 책 속에는 오랜 시간을 들여 촘촘하게 이어 놓은 빛나는 언어들이 들어 있게 마련이다. 그러니 그만큼의 시간을 공들여 조금씩 책들을 모아뒀을 서가 곁에 서 있으면 내가 지금까지 살아왔던 시간들도 이해받는 듯한 기분이 드는 것이다. 책이라는 미디어가 갖는 가치가 점점 퇴락하고 있는 요즘이지만, 우리가 잘 모르는 생소한 세계 속으로 들어갈 때 가져갈 수 있는 것은 여전히 한 권의 책이 아닐까. 송민호의 ‘서가에서 책 읽기’는 당신의 서가에 들어 앉아 있을 만한 책 한 권을 같이 읽으면서, 그 책에 담겨 있는 손때 묻은 세계 속으로 들어가는 시간이다.

한국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문학가를 한 명 꼽으라고 한다면, 바로, 천재작가 이상(李箱·1910~1937)을 떠올릴 사람이 적지 않다. 정확한 이름을 떠올리는 것까지는 어렵다고 할지라도, “13인의 아해가 도로로 질주하오”로 시작하는 ‘오감도(烏瞰圖)’ 연작의 시 제 1호나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를 아시오?”로 시작하는 소설 ‘날개’를 쓴 괴짜 천재인 이상이라는 작가가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는 사람은 아마 드물지 않을까.

 

경성고등공업학교 미술부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는 이상.
경성고등공업학교 미술부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는 이상.

 

대학에서 ‘이상’이라는 이름이 붙은, 학점도 없는 특강에 여전히 수십 명의 학생들이 들으러 왔던 경험을 생각해 보거나, 온전히 이상만을 연구하고 있는 학회에서 발표를 끝낸 뒤, 맨 뒤 줄에서 일반인으로 참여한 노년의 신사분이 이상과 양자역학 사이의 관계를 진지하게 질문하시는 바람에 그만 말문이 막혀버린 기억을 떠올려 본다면, 세간에 퍼져 있는 천재 작가 이상에 대한 관심이 아직은 여전하다고 조심스레 짐작해볼 만하다.

그처럼, 이상은 어쩌면 한국에서는 유일하게 ‘천재’라는 이름에 값하는 작가이다. 고작해야 27년이라는 짧은 생애를 살면서도, 세상에 내 놓은 불과 수십 편의 작품만으로 세상을 매료시켰다. 아니, ‘오감도’나 ‘날개’가 아니라, 이상이라는 작가 자신이 바로 세상을 매료시킨 예술적 작품일지도 모른다. 그는 우리보다 백 년 정도 앞을 살아갔던 단지 한 명의 인간이나 예술가가 아니라, 그를 뛰어넘는 시대적인 현상이자, 예술적 사건이었다.

하나의 예술적 인간이 이처럼 ‘신화’로 남을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일까 생각해본다. 우리는 누군가 조립한 언어의 나열을 마주하고 그것에서 설명하기 힘든 감정의 동요를 느끼게 될 때, 그 언어를 ‘예술’로 간주한다. 게다가 그 언어의 겹침과 나열이나 그 언어가 독자의 깊은 심연에 던지는 파문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었겠는가 하는 논리나 기원을 아무리 생각해도 알 수 없을 때, 사람들은 그곳에서 시대를 두고 회자될 ‘천재’가 도래했을지도 모른다는 기미를 읽어내게 된다.

아마도 이상의 언어를 처음 접하고 그에게 매혹되었을 많은 독자들 역시 마찬가지의 과정을 겪지 않았을까.

 

구본웅이 그린 이상의 초상, ‘우인의 초상’(1935).
구본웅이 그린 이상의 초상, ‘우인의 초상’(1935).

 

나는 아직도 서점에서 이상 전집 중 한 권을 열어보았을 때 느꼈던 충격을 문득 문득 기억한다. 우연히 열어본 그 세계 속에는 언어가 가지고 있는 가능성에 대한 극단적 실험과 세계를 바라보는 독특하고도 그윽한 깊이가 들어 있었던 것이다. 아니, 사실 이처럼 정돈된 언어로 정리할 수 있게 되기까지 꽤 오래 걸렸다. 당시에는 ‘내 눈 앞에 놓인 이 언어는 무엇이며 어디에서 왔을까’, 라는 황망한 마음뿐이었다. 아마도 누구나 그러했을 것임에 틀림없다.

오랜만에 서가를 뒤져 김윤식의 ‘이상 연구(문학사상사, 1987)’를 끄집어낸다. 전체적으로 검정색 표지에, 이상의 얼굴이 반만 드러나 있고, 금색의 ‘이상연구’라는 글자가 쓰여 있다. 이상에 대해서라면 여러 번 각별한 애정을 드러내었고, 새로운 자료도 많이 소개했던 출판사인 문학사상사에서 1987년에 초판이 나왔으니, 벌써 출판된 지 30년이 넘은 책이다.

이 책은 얼마 전 별세하신 김윤식 선생이 쓰신, 이상에 대한 가장 본격적인 연구서로, 이상의 언어 예술에 매혹되어, 그에 대해 좀 더 알고자 하는 독자들이 들어갈 수 있는 시작 지점으로 손색이 없다.

작가 김연수가 소설 ‘꾿빠이 이상(문학동네, 2001)’을 쓸 때 참고삼아 거듭 거듭 읽었다며, 후기에 그 이름을 올렸던 유일한 연구서이기도 하다.

물론, 작가 이상의 생애만을 다룬 책이라면 이 책보다 10년 정도 앞서 나온 고은의 ‘이상 평전(민음사, 1974)’을 빼놓을 수는 없다. 이 책은 시인인 고은이 이상이라는 작가가 그토록 독특한 작품을 남길 수 있었던 이유를 가족, 학창시절의 동료, 주변 문인 등 주변 사람들의 주밀한 증언 속에서 재구성하고 있다. 이후에도 몇 권인가, ‘평전’이라는 제목을 달고 나온 책들이 여러 권 출판되었지만, 인간 이상을 알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분명 이 ‘이상평전’을 추천할 수 있다.

하지만, 김윤식의 ‘이상연구’가 갖는 특별함은 단순히 인간 이상의 생애를 다루는 데에서 더 나아가, 천재 작가인 이상이 어떻게 탄생할 수 있었는가 하는 것을 치밀하게 추적해나갔던 과정에서 비롯된다. 이 책의 저자는 이상이라는 작가가 이제껏 세상에서 볼 수 없었던 언어를 만들어낼 수 있었던 배경을 찾아, 의식 아래 깊이까지 내려가, 그 창작력의 원천을 찾아내고자 했던 것이다.

 

‘조선중앙일보’ 1934년 7월 24일에 실린 이상의 ‘오감도’ 제1호.
‘조선중앙일보’ 1934년 7월 24일에 실린 이상의 ‘오감도’ 제1호.

 

그와 같은 의도 아래에서, 저자는 이상의 초기 문학작품들을 통해 드러나는 이상의 무의식 속에 내재된 공포와 각혈(이상은 당시로서는 죽음에 가장 가까웠던 질병인 결핵을 앓았다), 그리고 자살충동이 그의 짧은 생애의 어느 지점에서 비롯되었는가 하는 것을 상세하게 살피고 있다. 이를 통해, 그는 이상 문학의 원점을 죽음에 대한 ‘공포’로 정의하고, 다름 아니라 ‘오감도’ 제 1호에 등장하는 무서운 아이들의 기원을 그것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결국, ‘천재’를 마주했던 이 국문학자는 바로 그 ‘천재’의 창작적 근원 속에 ‘죽음’이라는 어쩔 수 없는 대상에 대한 근원적인 공포가 작용하고 있었다고 보고 있다. 이상이 그토록 새로운 언어로 가장 독특한 문학적 실천을 행했던 것은, 바로 인간이라면 누구나 겪을 수밖에 없었던 ‘죽음’이라는 공포를 마주해나가는 과정에서 선택한 필사적인 언어의 몸부림에 불과한 것이었다는 얘기다.

인간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문학적이고 철학적인 주제가 늘 죽음과 죽음 뒤에 우리가 어디로 가는가를 해명하는 것이었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지금은 세상을 떠난 국문학자의 해석이 갖는 무게감은 더 깊이 느껴진다.

인류가 가진 가장 오래된 서사시인 ‘길가메시 서사시’ 역시 친구의 죽음을 슬퍼하여 불사의 길을 떠난 길가메시의 불가능한 여정을 담고 있는 것이 아니었던가. 단테의 ‘신곡’도, 불교의 경전들도, 모두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해서, 그 풀리지 않는 공포와 불안을 노래해 왔다.

마찬가지로 이상이 인간의 하나인 이상, 그의 정신세계의 깊은 바닥에 죽음에 대한 공포나 불안이 존재한다는 해석에 대해 절대로 납득하지 못할 리 없다.

하지만, 영 개운치는 않은 뒷맛이 남는다. 이상이 가진 비밀이 단지 그것만일 수 없으리라는 생각이 떠나지 않는 까닭이다. 이상이 일본 동경으로 건너가 죽기 바로 전에 발표했던 소설 ‘종생기(1937.5)’에서 자신의 죽음조차 창작의 대상으로 삼아 껄껄거렸던 것도 생각나고, 그의 죽음 후에 발표된 ‘실화(1939.3)’라는 소설의 시작 부분에서, “사람이, 비밀이 없다는 것은 재산 없는 것처럼 가난하고 허전한 일이다”라고 써두었던 것도 머리속을 떠나지 않는다.

그러고 보면, 김윤식의 ‘이상연구’ 이후, 많은 연구자들이 주섬주섬 이상에 대해서 새로운 연구를 시도했던 것도, 그의 언어 하나하나를 모두 해부하듯이 살피고 해외의 새로운 이론들을 가져와 맞대어 보았던 것도, 여전히 많은 독자들이 이상의 문학에 매혹되고 그를 더 알고자 하는 것 모두 어쩌면 이상이라면 어딘가에 근사한 비밀을 숨겨두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마치 손을 뻗어 쥐어보려고 해도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간 바람의 꼬리가 남긴 촉감처럼, 이 책은 그렇게 이상이라는 신화가 시작된 원점으로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두서없는 생각을 하며, 그만, 책을 덮고 새로운 생각에 빠진다.

 

경성고등공업학교 미술부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는 이상.

송민호씨는 서울대학교에서 근대 초기 한국 문학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은 연구자이다. 현재 홍익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생들에게 문학을 가르치면서 언어와 문학, 그리고 역사와 미디어 등에 폭넓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