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형아시아퍼시픽해양문화연구원 이사
김도형 아시아퍼시픽해양문화연구원 이사

원효와 회재, 수운과 해월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이들은 형산강을 무대로 뜻을 펼치고 사상을 꽃피웠다. 고구려·백제·신라 삼국 간의 피비린내 나는 전쟁이 펼쳐지던 7세기에 일심(一心)과 화쟁(和諍), 무애(無礙)를 설파하며 한국 사상의 첫새벽을 연 원효, 당쟁으로 어지럽던 16세기에 조선 성리학 정립에 선구적 역할을 한 동방오현 회재 이언적, 구한말 암흑기에 ‘사람이 하늘’임을 선언하며 동학을 창도하고 이끌어 간 수운 최제우와 해월 최시형은 유유히 흐르는 형산강을 바라보며 자신의 뜻과 사상을 구상하고 가다듬었다. 이들은 탁류가 소용돌이치던 시기에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염원하며 자신의 철학을 만들어 나갔다.

한국 불교와 유교, 동학의 큰 물줄기가 형산강을 배경으로 형성된 것은 지역 차원에서 조명해볼 가치가 충분히 있다. 그런 맥락에서 원효와 회재를 기리는 연구와 행사는 지역에서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원효가 오랜 기간 머물며 많은 저서를 낸 분황사에는 원효학연구원이 있고, 여기서 원효학 학술대회와 예술제를 정기적으로 주관하고 있다. 위덕대학교에는 회재의 삶과 사상을 연구하는 양동문화연구소가 있으며, 작년에 회재 사상을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국제학술대회를 경주에서 개최한 바 있다. 그에 비해 동학에 대해서는 소홀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과문한 탓인지, 한국 철학과 종교의 고갱이인 동학의 가치를 제대로 짚어보는 작업이 지역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소식은 접하기 힘들다.

동학은 한국 철학과 역사의 영롱한 별빛이다. 도올 김용옥은 “동학은 기나긴 조선 역사의 연속적 토양에서 피어난 정화”이며 “오늘의 우리 자신의 가능성의 모든 씨앗이 동학에서 뿌려졌다”고 했다. 김상봉 역시 “동학은 낡은 세계가 붕괴하고 새로운 세계의 개벽이 도래한다는 역사의식에서 태동한 철학”이며 “현대 한국 철학의 시원”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사의 어른인 무위당 장일순은 ‘걸어다니는 동학’이라 불릴 정도로 동학을 높이 평가하고 섬겼다. 동학을 모르고는 한국 철학과 역사, 종교를 얘기할 수 없다. 특히 해월은 향아설위(向我設位), 이천식천(以天食天) 등의 독특한 가르침을 통해 사람의 내면에는 깊은 신성이 있으므로 모든 사람은 존귀하고 존경받아 마땅하다고 설파했고, 이는 비인간적 삶을 강요당했던 구한말 민중에게 구원의 빛이 됐다.

1894년 동학이 전라도에서 봉기하고, 이후 전라도에서 동학을 평가하는 움직임이 지속되면서 동학은 전라도의 철학이자 운동으로 인식돼 온 경향이 강하다. 특히 동학이 전라도에서 일어난 민족종교인 원불교와 증산교의 뿌리가 된 것도 이러한 경향을 더욱 강화하게 된다. 동학과 불교의 창조적 융합이 원불교이며, 동학의 한 흐름이 발전적으로 전개된 것이 증산교인 것이다.

경주 황오리에서 태어난 해월은 포항 신광에서 성장했고 기계에 있는 제지소에서 일을 하며 청년기를 보냈다. 1861년 동학에 입도해 수운과 운명적 조우를 하게 되고 수운의 신임을 받아 동학의 도통을 이어받았다. 30년 세월 관군에 쫓겨 다니며 모진 삶을 살면서도 “하늘은 저 푸른 창공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의 생활 속에 있으며” “성인은 별다른 존재가 아니라 마음가짐에 있다”는 가르침을 전했다. 해월의 사상은 과거형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에도 유효하며, 좌와 우, 남과 북의 진영을 뛰어넘는 깊고도 넓은 생명력을 품고 있다.

경북대와 전남대가 ‘영호남의 대화’ 사업 일환으로 작년 12월 20일 경북대에서 ‘영호남 동학운동의 재조명’을 주제로 한 학술대회를 개최한 것은 반가운 소식이다. 이제 해월이 성장하고 활동한 포항에서 해월을 호명할 때가 됐다. 한국사의 큰 산맥인 해월을 포항 안으로 불러들일 때 포항의 위상 역시 크고 높게 되리라 믿는다. 새해에는 형산강을 바라보며 해월을 생각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