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의 탈원전정책에 대한 반대운동이 뜨거워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원전산업과 원전해체 산업을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혀 지역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탈원전 정책에 대한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원전산업에 대한 실질적 지원과 원전해체 산업에 대해 지원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되고 있기 때문이다.<관련기사 3면>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16일 청와대 정례 브리핑에서 전날 열린 ‘기업인과의 대화’이후 문재인 대통령의 후속 지시사항을 전하며, “지난해 6월 원전산업 지원방안을 발표한 적 있는데, 그 추가 보완대책을 수립하고, 금년도 3월에 동남권 원전해체 연구소를 설립해 원전해체산업 육성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언급은 신규 원전 건설 중단 결정에 이어 기존 원전 해체 이후 상황까지 본격적으로 대비하겠다는 것으로, 탈원전 정책 수정 요구에 맞대응하는 차원의 조치로 풀이된다.

지역 원전산업 관계자들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입장표명과 관련, “탈원전 정책을 지속할 경우 정부가 원전산업 생태계 유지를 위한 지원을 서두를 필요가 있으며, 원전해체연구소는 모든 여건이 고르게 갖춰진 경북 경주시에 반드시 유치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동남권’이라고 애매하게 표현해 부산과 울산이 유치전을 벌이고 있는 등 또다른 소모전이 벌어질 것을 의식한 것이다. 또한 영덕에 건설하기로 했던 원전 계획이 취소됨에 따라 회수할 것으로 알려진 영덕군의 ‘원전 자율유치 특별지원금’380억원도 원전건설 때문에 7년여 동안 주민갈등과 재산권 피해 등으로 상처입은 지역민심을 추스를 수 있는 사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해주는 민심수습 조치 역시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원전해체연구소의 경북 경주시 유치와 관련, 경북도와 경주시는 중저준위방폐장과 월성 원전, 한수원,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등 관련 기관이 밀집해 원전해체연구소의 최적지라는 주장으로 원전해체연구소 유치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더구나 국내 원전 24기 중 12기가 밀집해 있는 경북 동해안에 위치한 데다 원전현장인력양성원 등 인력 양성 체계를 갖췄다는 점도 전국 어느 곳과도 비교할 수 없는 최적의 원전해체연구소 입지라는 것이다. /김진호기자

    김진호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