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내 총 1천32곳 설치
시·군별 서비스 격차 커
상주·구미 100여곳 비해
성주·청도·군위는 10여곳 불과
실제 사용량 데이터 없고
인구비례 등 명백한 기준 모호
시스템 구축, 실수요 파악해
불균형 해소·실효적 설치 필요

서민들의 통신비 부담을 절감하기 위해 실시된 경북지역의 무료 와이파이망이 시군마다 격차가 커 균등분배를 위한 적합한 설치 기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인구대비 뿐만 아니라 실제 사용량을 파악해 실효성 있는 설치를 통해 시민 편의를 도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와 경북도 등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1차적인 무료와이파이망 설치사업이 이뤄졌다.

이전에는 통신사 3사가 개별적으로 설치한 와이파이망이 전부였다.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파악한 무료와이파이망 설치현황에 따르면 경북도내에 총 1천32곳에 설치됐다. 서울시(1천863곳), 강원(1천417곳)에 비하면 적으나 전남(843곳), 충북(505곳) 등에 대비하면 많은 숫자다.

문제는 설치대수의 분포가 시군마다 불균형하게 이뤄졌다는 것.

설치대수는 상주시(127곳)와 구미시(105곳) 등이 상위권에 있지만 성주(17곳)와 청도(13곳), 군위(11곳) 등은 상대적으로 월등히 적다. 경북도내 인구가 가장 많은 포항시도 64곳에 불과하다.

포항시 관계자는 “국비 와이파이 사업의 한계를 느끼고 있어 자체 시예산을 투입한 무료와이파이망 확대 사업도 지난 2017년부터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구대비와 사용량 등에 따른 명백한 기준이 없다는 점도 사업 효율을 떨어뜨리고 있다.

사업 진행 과정을 살펴보면 과기부가 각 도에 예산을 지원하고 도가 2차적으로 각 시군에 수요조사를 요청한다.

수요조사가 끝나면 도가 결과를 수합해 다시 과기부에 통보, 과기부에서 결과를 받은 통신사가 1차 조사를 거쳐 지자체와 최종 설치대수를 결정한다.

그러나 사용량 등 실수요에 대한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은데다 수요조사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

수요조사 기준은 단순히 공공기관, 도서관, 보건소, 터미널, 주민센터 등 장소에 국한돼 있고 유명관광지 등에 유동인구가 얼마나 모이는지, 실제 와이파이 데이터 사용량이 어느정도인지는 지자체에서도 파악이 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경북도 관계자는 “경북도내 하루 평균 와이파이 데이터량 등 실수효 통계가 있지 않은 상황”이라며 “통신사에서도 무료와이파이망 데이터량 등 자료를 보관하지 않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수요조사의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데이터 사용량 등 지표가 필요하다는 점은 공감한다”며 “올해 새롭게 추진되는 과기부 주관 공공와이파이망 설치 사업에서는 과기부가 자체적으로 사용량 확인을 위한 자체 관제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인 것으로 전달받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과기부는 2017년 10월 공공 와이파이 확대를 위해 산·학·연 관련 전문가 25여명으로 공공 와이파이 확대 실무작업반을 구성해 운영하며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인 ‘가계 통신비 인하’에 주력하고 있다.

올해에는 버스공공와이파이, 일반공공와이파이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버스공공와이파이사업은 올해 5월 시작해 각 도내 시내버스 안에 와이파이망을 설치하며 일반공공와이파이 사업은 98억의 국비 예산이 책정돼 올해 7월부터 본격 추진될 방침이다.

/황영우기자 hyw@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