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태대구취재본부 부장
김영태 대구취재본부 부장

새해다.

2019년 대구지역의 최대 화두는 이구동성으로 어려운 경제회복을 꼽는다.

각종 조사마다 내년도 경기를 불투명하게 보는 결과가 잇따르는 것에도 이같은 사실이 잘 나타나 있고 다양한 극복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구 경제회복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 바로 부동산이다. 2019년 대구지역에는 2011년 이후 처음으로 신규공급에 들어가는 서구 8천665가구(26.9%)를 비롯해서 중구 4천495가구(13.9%), 동구 4천491가구(13.9%), 수성구 3천476가구(10.8%), 남구 3천275가구(10.2%), 북구 3천39가구(9.5%), 달서구 2천444가구(7.6%), 달성군 2천307가구(7.2%) 등 모두 31개 단지에 모두 3만2천192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특히 도심권 재건축·재개발 비중의 경우에는 24개 단지에 모두 2만4천184가구로 전체 분양의 75.1%를 차지할 정도로 물량이 상당하다. 대구 지역도 이제는 이른바 나대지에 아파트를 짓을 공간은 달성군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곤 소진된 상태라는 점을 알려주는 내용이다. 대구시는 지난해 11월 12일부터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 지역 업체 수주 활성화를 위해 지역건설업체 참여에 따른 용적률 인센티브를 20%까지 더해주고 설계에도 지역업체에 가점을 3% 주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대구의 도시정비사업장에서 지역건설업체 및 설계자와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할 경우 총 23%의 용적률 인센티브를 받게 된다. 이는 △대전 17% △부산 15% △광주 10% △울산 5% 등과 비교해 전국 최고 수준이다. 서울과 인천은 이 제도를 시행하지 않고 있다. 대구시가 이같은 지원에 나선 데는 지난해 초 지역 건설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기존 5%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던 ‘지역 업체 참여비율에 따른 용적률 인센티브’를 최대 15%까지 확대했지만, 지역 내 정비사업장 입찰에서 6개 사업장 중, 단 한 건도 지역 업체가 수주하지 못하며 외지 업체의 독식현상 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대구시의 강력한 인센티브 지원책이 등장한 데는 대구 남구 봉덕·대덕지구의 수주전에서 15%의 인센티브를 강점으로 한 지역기업과 타 기업간의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였지만, 조합원간의 갈등에 따라 법정문제로 비화됐다. 이들 두 기업이 주춤하는 사이에 전국 규모의 대기업이 봉덕·대덕지구 수주를 위해 물밑 작업이 한창이라는 소문이 파다하게 퍼지면서 대구시의 인센티브 정책을 무색케 한 것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동안 분양시장은 대기업이 수주를 하더라도 나머지 2∼3차 사업은 대부분 지역기업에 맡기는 경향이 강했지만, 최근 몇년 전부터는 아예 자신들의 협력업체들을 대거 데리고 진출하기 때문에 지역 경제에는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했다. 더 이상 이런 상황을 방치하다가는 분양시장 활황에도 지역기업이 전혀 혜택을 보지 못하고 지역 경제 성장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방향으로 흐를 것을 대구시가 늦게나마 간파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 기업도 대구시가 마련해 준 수주전 승리의 방정식만을 믿고 좌시하기보다는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지역에 기여하는 방향을 잡아야 할 때이다.

자칫 지역 기업간의 이전투구 양상으로 수주전이 전개된다면 다시 대기업 쪽으로 방향을 선회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벌써부터 이같은 조짐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하는 상황이기에 지역기업들 간의 소통과 협력을 통한 상생의 길을 모색하는 방안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렇다고 지역 업체간 담합 성격의 수주전을 펼칠 경우 지난해 외지기업이 독식하는 전철을 그대로 밟을 수 있다.

올해 부동산 분양시장의 3분의 2 이상이 재개발·재건축이기에 지역 기업을 위한 장은 마련돼 있다. 대구시도 지역기업을 도울 강력한 드라이브 지원책을 내놔 관청으로서 할 도리는 다 한 상태이다. 이제 지역 기업들이 답할 차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