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15일 발생한 포항지진과 관련한 대응 단체가 난립하면서 목소리가 분산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한다. 현재 포항에서는 지진과 관련해 5~6개 단체가 이미 결성돼 포항지진의 원인과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고 한다. 그 중 일부 단체는 포항지진과 관련해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까지 낸 것으로 전해져 향후 포항지진 원인과 관련한 진상조사단의 결과 발표에 따라서는 상당한 혼선이 빚어질 가능성마저 있다.

포항시의회 김성조 의원은 이와 관련, 지난 21일 포항시의회 본회의에서 “52만 포항시민의 목소리를 한 곳으로 담을 구심체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김 의원은 “일부에서는 포항지진 범시민대책본부 간판을 달고 지진피해 보상금을 받아준다며 소송 인지대 명목으로 1인당 10만 원씩 입금을 유도해 말썽을 빚기도 했다”며 단체 난립을 우려하는 자유발언을 했다.

작년 11월 15일 발생한 규모 5.4의 포항지진은 아직 그 발생 원인을 두고 학계에서 논란을 벌이는 등 정확한 원인에 대한 의견이 모이지 않고 있는 상태다. 최근 미국 워싱턴에서 있은 국제학술행사에서는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의 물 주입으로 유발됐다는 논문에 대해 상방 간 공방이 있었다. 부산대 김광희 교수는 지열발전소가 생기기 전에는 두드러진 지진 보고가 없었던 점 등 포항지진은 시공간적 인과관계로 볼 때 유발지진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일부 학자는 포항지진은 2011년 있었던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이라고 발표했다. 동일본 지진 이후 한반도의 지각이 물러져 발생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포항지진의 정확한 원인 분석을 위해 정부의 조사단이 구성돼 현재 조사 중에 있으며 내년 3월쯤 결과가 발표될 것이라 한다. 그러나 그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지진발생 원인에 대한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이미 상당수 시민이 지진피해 보상에 대한 불만이 커져 있는 것이 주된 이유다. 만약 지열발전에 의한 유발지진으로 밝혀진다면 그 파장은 말할 것도 없다.

이런 상황에 포항지진 대응 단체가 우후죽순식으로 난립한다면 포항시민의 목소리를 제대로 담아내기 어렵다. 특히 보상을 이유로 특정 법률관련 기관 등이 개입된다면 상황은 더 복잡하게 꼬일 가능성도 높다.

포항지진에 대한 원인 규명은 매우 엄중한 문제이다. 피해자인 포항시민의 입장에서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유용한 판단가치가 있는 문제이다. 또 결과에 따른 대응도 매우 신중해야 한다. 포항시민의 입장을 제대로 전달하는 공공적 임무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치적이나 사사로운 목적 등으로 중구난방식 활동이 진행되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한다. 포항시와 포항시의회, 시민대표 등이 함께 참여하는 하나의 구심체를 만드는 것이 대정부 대응에 보다 설득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