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 상상력’

강판권 지음·문학동네 펴냄
인문·1만6천500원

▲ 강판권 교수
▲ 강판권 교수

인문학과 식물을 결합한 연구를 하는 강판권(57) 계명대 사학과 교수는 ‘나무 인문학자’로 불린다. 생태사학자로서 나무를 인문학 차원에서 정립한 수학으로 독자적 자기 정체성을 굳혀가고 있다. ‘나무철학’, ‘어느 인문학자의 나무 세기’, ‘선비가 사랑한 나무’, ‘나무 열전’ 등 나무와 관련된 22권 책을 집필했다. 나무의 생태학을 인문학에 접목함으로써 학문의 새 지평을 열고 있다,

강 교수는 최근 나무를 넘어 숲을 예찬한 신간 ‘숲과 상상력’(문학동네)을 펴냈다.

‘숲과 상상력‘에서 강 교수는 숲을 통한 성찰과 힐링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낸다.

‘숲과 상상력’은 지난 6년 동안 전국 숲을 돌아다니며 얻어낸 새로운 결실이다. 강 교수는 “숲을 찾아 나서는 길은 곧 꿈을 찾아가는 여행과 같다”면서 “그동안 나무와 숲을 만나며 많은 시간을 보냈다. 내게 가장 행복한 시간이었다. 나무와 숲은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고 회고한다.

책은‘사찰과 숲’, ‘역사와 숲’, ‘사람과 숲’3부로 구성된다.

△자연박물관인 산중 사찰

우리나라 한국 산중 사찰은 자연생태와 인문생태의 보고다. 1부에서는 보은 법주사 오리숲, 합천 해인사 소나무숲, 영천 은해사 소나무숲 등 사찰과 함께한 숲을 소개한다. 법주사는 갈참나무의 모습이 웅장하며, 계곡에는 물억새, 벚나무, 물푸레나무가 어울려 산다. 해인사로 가는 길은 소나무숲길로, 길가에서 간혹 호랑이 무늬 껍질이 아름다운 노각나무를 볼 수 있다. 은해사로 들어가는 길목에는 느티나무 가지가 굴참나무로 다가가 서로 만난 연리지가 있다. 사찰을 둘러싼 숲은 사람들에게 마음을 정화하는 장소를 제공하고 각종 문화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해왔다. 사찰과 어우러진 숲은 박물관의 유물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그 자체로 값어치 있는 자연박물관이다.

△역사를 간직한 숲

역사를 간직한 숲은 자연생태와 인문생태를 모두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화성 융릉과 건릉은 울창한 숲에 조성돼 있다. 정조는 원통하게 숨진 아버지 사도세자를 생각하며 왕릉 주변의 소나무를 극진히 보호했다. 사도세자를 그린 정조의 애틋한 사랑 덕분에 우리는 아름다운 숲을 만날 수 있게 됐다. 한편, 한국의 조영은 건축물만이 아니라 자연생태까지 포함한다. 종묘는 그 자체로 거대한 숲이다. 종묘의 건축물과 더불어 숲은 그 어떤 공간보다 신성하다. 종묘는 죽은 사람을 위로하는 공간이기에 건물과 담에는 화려한 꽃이 피는 나무와 풀을 장식하지 않는다.

 

우리나라 숲 곳곳은 생생한 역사의 현장으로 남아 있다. 경주 계림은 신라시대 경주 김씨의 시조인 김알지가 태어난 곳으로 전해진다. 숲에서 닭 울음소리가 들려 가봤더니 나뭇가지에 걸린 금궤 안에 사내 아기 김알지가 있었다고 한다. 함양 상림은 최치원이 조성한 최초의 인공 숲으로, 신라시대 위천의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만들어졌다. 상림은 무려 1천년이 넘는 세월 동안 원형에 가깝게 현장이 보존된 숲이다. 횡성 청태산 잣나무숲은 이성계가 휴식하면서 횡성 수령에게 점심 대접을 받은 곳이다.

△숲을 일구다

사람의 숭고한 정신 덕분에 나무가 숲을 이룬 경우도 있다. 장성 편백숲은 한 인간이 평생 숲을 만드는 데 어떤 희생을 감수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다. 임종국은 1956년부터 21여 년간 지독한 나무 사랑으로 우리나라 헐벗은 산림을 복원했다. 그는 나무를 살리려고 지게로 물을 져 날랐고, 수십 년 동안 인내심을 갖고 나무가 온갖 풍파를 견디면서 살아남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임종국은 조림에 필요한 자금을 감당하지 못하고, 사채업자와 채권자들에게 자신이 평생 가꾼 숲을 넘겨줘야만 했다. 임종국은 세상을 떠났지만 그가 평생 일군 숲은 지금도 많은 생명을 구하고 있다. 광양 청매실농원은 일제강점기 율산 김오천이 광부 일을 해서 번 돈으로 밤나무와 매실나무를 심어 가꾼 곳이다. 김오천의 며느리인 홍쌍리가 시아버지의 뜻을 이어받아 이곳을 지금의 청매실농원으로 성장시켰다. 청매실농원에서는 매화를 군자로 삼아 사랑한 조선 선비들의 마음, 그리고 그 마음을 이어받아 매실나무를 가꾼 사람들의 정신을 함양할 수 있다. 횡성 미술관 자작나무숲은 사진작가인 원종호가 1991년 이곳에 정착해서 1년생 자작나무 1만2천여 그루를 심은 숲이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