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리스트(Black List)의 반대 개념으로, 분야별로 다른 뜻으로 쓰인다. 우선 IT분야에서는 안전한 IP 주소를 따로 분류해 이곳에서 보내는 것은 모두 수용하도록 하는 목록을 가리킨다. 알려진 IP 주소로 화이트리스트를 만들어 이로부터 전송된 이메일은 메일 서버가 언제나 수용하도록 하거나 은행, 각종 포털 사이트가 자발적으로 보안 업체나 단체에 화이트리스트로 등록해 웹 사이트의 안전성을 소비자에게 알려 주게 된다. 불법 사이트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스팸 메일, 악성 코드를 유포하는 IP 주소, 피싱을 조장하는 허위 사이트 등을 데이터베이스(DB)로 만든 블랙리스트를 새롭게 업데이트하는 것이 한계에 이르면서 등장했다. 화이트리스트에 있는 메일만 받아볼 수 있게 설정하면 역으로 악성 메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정치권에서는 보수단체에 국비지원을 강요한 목록으로 쓰였고, 블랙리스트에 오른 단체에는 지원이 배제됐다. 박근혜 정부시절 보수단체 지원을 강요하는 등 이른바 ‘화이트리스트’를 주도한 혐의로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기소됐다. 김 실장은 1심에서 징역 1년 6월형 선고와 함께 법정구속됐고, 조 장관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으로 실형을 면했다.

노동계에서도 화이트리스트 논란이 일고 있다. 바른미래당 하태경 의원이 최근 울산 소재 중견기업 S사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 소속 노조가 특정 조합원 자녀와 친인척 등을 채용하라며 고용세습 ‘화이트리스트’를 작성해 2011∼2013년과 올해 실제로 40명이 채용됐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S사는 현대자동차의 1차 협력 부품사로, 해당 노조는 민노총 산하 금속노조 울산지부 소속이다.

영화계에서는 지난달 개봉한 영화 ‘출국’이 화이트리스트 논란에 휩싸였다. 박근혜 정부 당시 지원사업의 특혜로 모태펀드 한국벤처투자로부터 제작비를 지원받았다는 것이다. 남과 북이 비무장지대에서 지뢰를 걷어내며 ‘평화 모드’에 접어든 시점에 개봉한 영화 ‘출국’이 박근혜 정부의 화이트리스트에 논란에 휩싸인 건 아이러니컬한 모양새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