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 신도시 2단계 사업은 도시 활성화 단계다. 1단계가 도청, 교육청 등 각종 행정기관의 이전에 있었다면 2단계는 주거와 상업시설, 의료시설 등의 이전으로 도시기능을 활성화하는데 있다. 2단계 사업은 안동 풍천면과 예천 호명면 일대 5.54㎢ 규모 면적에 9천226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인구 4만5천 명이 정주하는 신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1단계보다 인구면에서 거의 3배에 가깝다.

그러나 지금 현재 경북도청 신도시 사업은 근본부터 흔들리고 있다. 인구유입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데다 1단계 사업의 높은 분양가로 2단계 사업은 사실상 손대기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곳곳에서 이런 문제들이 지적되고 있다.

지난 10월 경북도청에 대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도 같은 문제점이 지적됐다. 여야 의원들은 경북도청 신도시 조성문제와 관련해 “2단계 사업의 전면 재검토”를 요구했다. 민주당 박재호 의원은 “이미 도청 신도시 1단계 사업이 실패라는 말이 있다. 지금은 2단계 사업을 서둘 것이 아니라 1단계의 문제를 찾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했다. 바른미래당 이혜훈 의원도 “1단계 사업이 완료단계에 접어들었으나 유입인구는 당초 계획의 절반에 불과하고, 도심과 떨어져 인구유입도 어렵다”며 사업의 성공여부가 걱정이라 했다.

그들의 말을 곰곰이 되새겨보면 국회의원의 눈에 비친 경북도청 신도시 조성사업은 사실상 실패라는 것과 같다. 많은 사업비를 투입했음에도 1단계 사업부터 정착을 못했으니 사실상 실패라는 것이다. 경북도청 신도시 사업은 인구 유입이 절대적 변수다. 신도시로 몰려들 인구만 있다면 사업의 성공은 별로 걱정 않아도 된다.

1단계 사업이 실패라는 말은 인구 유입면에서 가장 큰 원인을 찾아 볼 수 있다. 1단계 사업이 완료단계에 있으나 정주인구는 당초 목표한 인구 2만5천 명의 절반 수준인 1만2천여 명에 그쳤다. 그나마 절반 이상이 안동과 예천에서 유입한 인구여서 경북도청 이전에 따른 인구 유입효과는 미미하다. 안동과 예천은 인구유출에 따른 원도심 공동화로 몸살을 앓고 있다. 신도시 사업에 대한 불평이 나올 수밖에 없다. 물론 1단계 사업처럼 지나치게 높은 분양가도 신도시 조성에 장애가 된다. 그렇지만 근본적으로 도청 신도시 조성 사업은 인구유입에서 비롯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이런 문제에 대해 “공감을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 의견을 청취해 활성화 방안을 찾겠다고 약속했다.

그동안 인구 10만의 신도시 조성 사업은 지나치게 과대 포장된 측면이 있다. 도청이 이전하면 신도시가 자연스럽게 건설될 것이란 생각도 착각이다. 좀 더 현실성 있는 대안 마련으로 인구 유인과 함께 도시기능을 찾는 대책이 있어야 한다. 원점에서 검토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