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자신을 알라’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 지음
열린책들 펴냄·철학·2만5천원

철학서적 역사상 전례 없이 280만 부 판매라는 놀라운 기록을 세운 ‘나는 누구인가?’의 저자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의 신작‘너 자신을 알라’(열린책들)가 출간됐다.

독일 철학계의 슈퍼스타로 불리는 저자의 ‘철학하는 철학사’ 3부작의 제2편. 첫 번째 시리즈가 기원전 그리스 철학자 탈레스부터 14세기 이탈리아 인문학자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까지 약 2천년에 걸친 고대·중세 철학을 다뤘다면, 이번에는 15~19세기 중세와 근대 철학들을 살펴본다.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 철학부터 계몽주의와 독일 관념론에 이르는 철학 여행이 펼쳐지는 동안 로크, 제임스 해링턴, 라이프니츠, 헤겔 등 주요 철학자들이 등장한다.

‘철학하는 철학사’ 3부작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서양 철학사를 집필한다는 목적으로 시작된 연작 기획이다. 전작 ‘세상을 알라’를 통해 새로운 철학사에 대한 깊은 고민의 흔적과 결과를 보여 준 바 있는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는 이번에 출간된 두 번째 책 ‘너 자신을 알라’에서도 서양 철학의 발전 과정을 당대의 사회, 경제, 문화의 측면에서 기술하며 예의 치밀함과 균형감을 이어 나간다.

현재 2권까지 출간된 ‘철학하는 철학사’는 독일에서 인기를 끌며 최근까지 누적 판매량 23만부를 넘어서며 철학서, 그중에서도 철학사 분야로선 전례가 없는 인기를 얻고 있다. ‘현대 철학’에 대해 다룰 3권 ‘너 자신이 되어라’는 현재 집필 중이다.

‘너 자신을 알라’가 다루는 주제는 르네상스를 시작으로 바로크, 계몽주의, 그리고 독일 관념론으로 이어진다. 기존의 철학사와 비교한다면 즉 철학의 시대적 분류와 관련해서라면 이 책은 불친절하다. 프레히트가 말하는 이 책의 목적은 일련의 분류를 ‘그저 일목요연하게 개관하는 것’이다. 기존의 철학사들이 손에서 놓지 못했던 ‘시대 구분과 같은 형식적인 틀의 문제’에 구애받고 싶지 않은 것이 그 이유다. 가령, 르네상스의 시작과 끝이 언제인지, 바로크는 역사적 시기인지 예술 양식인지, 어떤 ‘시대’라는 것이 과연 존재할 수 있는지 같은 것들은 프레히트의 관심사가 아니다.

형식으로부터의 자유가 만든 틈을 대신 채우고 있는 것은 철학사적 행간들, 즉 이야기다. 프레히트가 ‘시대적 육체성과 생물학’이라 표현하는 각 철학 시대의 현장감은 이 책의 구석구석에 포진해 역사, 정치, 사회적 사건들을 하나로 묶어내는 아교 역할을 충실히 해낸다. 시간 순서대로 나열되는 이런 이야기들은 ‘물줄기가 거의 바뀌지 않는 강’처럼 흐르며 자연스럽게 하나의 질문을 향해 내달린다.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를 프레히트는 ‘전문 영역과 전문가들의 세계’라고 정의한다. 그는 동시에 지식인이 처한 작금의 상황을 꽤나 부정적으로 바라본다.‘오래전부터 지금까지 축적돼 온 전문 지식의 양이 너무나도 부담스럽다’는 고백도 뒤따른다. 이런 맥락에서 오늘날 지식인으로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은‘방향 정립에 필요한 지식으로서 잃어버린 것들을 보충하는 것’이며, 철학사는 ‘지식인이 할 수 있는 마지막 영역들 중 하나’라는 것이다. 새로운 철학사에 대한 프레히트의 열망은 여기에 있다.

‘너 자신을 알라’에서는 쿠자누스부터 헤겔까지 서양 철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수많은 철학자들이 소개된다. 그들에 대해서 프레히트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철학의 역사이면서 회가 거듭되는 연재소설과도 같다. 등장인물들의 일면은 이야기에 재미를 더한다. 라이프니츠는 ‘서술한 보람이 없을 정도로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적 캐릭터로 딱 잘라 묘사된다. 계몽주의의 아버지 로크가 흑인과 인도인의 인권에는 무관심했다는 모순적이고 희극적인 지점이야 말로 시리아 난민과 저녁 메뉴를 동시에 걱정하는 인간 사회의‘특수 도덕’의 좋은 예시라는 지적도 빠지지 않는다. /윤희정기자

    윤희정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