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사람이 세상을 떠날 때 세상은 더할 수 없이 쓸쓸해진다. 자신이 의미를 부여했던 사람이 세상을 떠나면 자신은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 생각하게 된다.

그날은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서 영결식이 있었다.

사일장으로 다음날인 28일 발인이 있으신 선생은, 내가 대학 때부터 대학원 시절까지 줄곧 학문을 생각할 때마다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던 분이셨다. 처음에 인상 하나, 여기는 공부하는 곳입니다. 운동할 사람은 운동장으로 가시오. 당시는 1984년, 제5공화국 시절, 대학 자율화라 해서 경찰은 대학 캠퍼스 바깥으로 물러갔지만, 통제와 감시가 지배하는 현실에 대학생들의 저항이 뜨겁던 때였다.

르네 웰렉과 오스틴 워렌의 ‘문학의 이론’과 헤겔의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이 동거하는 강의는 고등학교 때까지 한가롭게 사르트르나 까뮈, 헤르만 헷세만을 알던 대학생에게는 몹시 낯선 풍경이었고, 경상도 사투리의 냉정한 음정은 갓 상경한 외로움 타는 청년으로는 적응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그 청년은 그 무렵, 또 그후로도 오랫동안, 서울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서라면 무엇이든, 누구든 쉽지 않았고, 숨어있던 벽이었다.

대학원에 가서, 그러고도 오래 시간이 흐른 뒤에야 그 차가움, 투박함, 낯섦, 사람을 몹시 긴장하게 만드는 두터운 압기, 그 모든 것들이, 그분의 외로움에서 온다는 것을 알았다. 그는 남들과 다른 방식으로 인생 전부를 판돈으로 걸고 투쟁하고 있었는데, 그것은 이 한국현대문학을 위해서도 한 사람쯤은 미친 사람이 있어야 한다는 신념에서 온 것이고, 또 이 신조를 위해 자기를 바쳐가는 사람만이 품을 수 있는 불친절이었다.

그를 알지 않고는, 그가 무엇을 알고 싶어 했고, 무엇을 그리려 했는가를 깊이 음미하지 않고는 한 걸음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해 졌을 때 나는 드디어 그의 연구를 향한 메타적 분석을 시도했다. ‘숙명과 그 극복이라는 문제’라는 글은 1997년 초겨울에 시작된 탐구의 결과였다. ‘운명과 형식’이라는 그의 비평선집은 내게 와서 ‘숙명’을 어떻게 극복할 것이냐 하는 문제가 되었던 바, 숙명이란 날 때부터 타고난 정해진 운명 또는 피할 수 없는 운명의 뜻을 갖는다.

그렇다. 나는 내 숙명을 의식하고 그것을 바꾸려는, 어휘의 뜻에 따르면 그것은 형용 모순, 역설일 수밖에 없는데, 불가능한 것 같은 시도를 해야 했다. 그렇게 하지 않고는 숨은 벽은커녕 눈에 보이는 벽조차 넘을 수 없었다.

벽 앞에서 있을 수 있는 네 가지 행동 방식. 벽을 올려다보며 경탄하기, 벽 앞에서 뒤돌아 원래의 자리로 되돌아가기, 벽을 벽이 끝나는 데까지 멀리 에돌아 가기. 벽에 머리를 찧든, 맨손으로든 하켄을 박아넣든 기어올라 타넘기.

나는 지금 마지막 방식으로 그를 탐사 중이다. 이 벽은 높고 육중하고 발디딜 데를 찾기 어렵다. 하지만 진짜 벽은 그가 아니라 나, 내안에 있다.

영결식은 이근배 시인의 추모사가 있었고 마지막에는 가수 윤시내의 ‘열애’로 끝났다. 사랑에는 여러 방법이 있지만 사랑의 진짜 방법을 안다고 누가 자신하랴.

/방민호<서울대 국문과 교수>
/삽화 = 이철진<한국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