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러시아 26개 지방정부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포항에서 열린 제1차 한-러 지방협력포럼이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해 한-러 간 경제협력을 지지하고 신북방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경북과 포항의 역할도 강조했다. 침체 분위기에 빠져 있던 포항이 모처럼 활기를 되찾았다. 대규모 국제행사가 열리면서 포항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희망의 메시지도 던져주었던 행사다.

특히 26개 한-러 지방정부 정상들이 공동 서명한 ‘포항선언문’은 양국 간 지속적이고 장기적 교류를 전제로 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성과로 평가됐다. 첫 개최지이자 북방교역의 출발점이 될 포항으로서는 더욱 의미가 있는 일로 보인다.

포항선언문에는 경제, 통상, 교육, 과학, 인적, 문화 교류 뿐 아니라 항만, 물류, 문화, 예술, 체육, 관광, 의료분야까지 실질적 협력관계를 증진시킨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한-러 포럼 관련업무의 조율을 위해 상설 사무국을 두기로 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지방정부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구성을 확대해 나가는 것도 상호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양국 지방정부 대표들은 내년도에는 러시아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2차 포럼을 열기로 했고, 제3차 포럼은 2020년 대한민국 울산에서 개최한다고 합의했다.

포항선언문이 발표되면서 이제 이를 실천하는 일들이 우리의 과제로 남게 됐다. 특히 경북도와 포항은 북방경제교류의 주체로서 준비와 역량을 잘 키워나가야 한다. 경북은 지리적으로 북방경제 교류의 실질적 역할을 할 위치에 있다. 북방정책에 대한 정부의 의지도 높아 북방교류협력 사업을 통해 경북지역 경제 활성화의 길도 찾아야 한다. 문 대통령도 “한반도에 평화의 시대가 열리면 경북은 신북방정책의 거점이 될 수 있다”고 자신있게 말했다. 정부가 추진할 신북방정책에 경북이 앞장서게 될 거란 뜻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다만 북방정책을 추진하기에 앞서 정부차원의 사회간접자본 투자가 선행돼야 할 부분이 많다. 문 대통령의 말한대로 영일만항이 환동해권 물류의 중심이 되기 위해선 그곳의 인입 철도와 여객부두의 조기 완공 등은 필수다. 또 포항에서 삼척까지 이어지는 동해중부선의 복선 전철화 사업도 빠르게 결정돼야 할 과제다. 현재의 단선철도로서는 경제적 효과를 끌어올리기에는 역부족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이 문 대통령에게 건의한 영일만대교도 풀어야 할 과제이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경북 동해안지역은 경제적 어려움을 많이 호소하고 있다. 탈원전 정책에 따른 피해 지원책은 별도로 하더라도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한-러 교류로 인한 신북방정책은 그런 점에서 새로운 대안사업으로 가능할 수도 있다. 포항선언을 뒷받침할 정부의 강력한 지원책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