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친환경 교통수단인 트램(TRAM·노면전차) 도입에 본격적으로 나서기로 했다고 한다. 만약 도시철도 1·2·3호선과 연계한 트램의 도입이 순조롭게 이뤄진다면 대구시는 시민들의 발인 대중교통의 획기적 전기를 마련하게 될 전망이다.

대구시의 트램 건설사업은 권영진 대구시장의 공약사업의 하나로 그동안 여러 차례 검토 과정을 거쳐 왔던 사업이다. 지난 8월에는 3억8천여만 원의 예산을 들여 트램 도입 타당성 조사 용역을 발주하기도 했다.

이번에 이 문제가 본격 거론된 것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이 ‘무가선 저상 트램 실증노선 선정을 위한 지자체 공모’에 나서면서부터다. 대구시는 제출 마감일(12월 14일)에 맞춰 일단 제안서를 내기로 결정한 것이다. 다만 재정적 부분이 걱정이라고 한다. 공모 방식의 이번 사업은 매칭사업으로 지자체 부담이 큰 것이 난제라고 한다. 그렇다고 정부 지원사업으로 진행할 경우 국비가 최대 60% 정도 지원받을 수는 있으나 SOC 사업을 줄이고 있는 현 정부 아래서 대구시 트램건설 사업이 얼마나 원만한 지원을 받을 수 있을지 불투명해 이래저래 고민이라고 한다.

어떤 결정이 내려질지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그러나 트램 건설로 발생하는 효과가 크다는 점에서 이 사업에 대한 시민들의 괸심도 적지 않다.

현재 대구의 도시철도는 환승시스템이 부족해 교통 시너지 효과를 제대로 올리지 못하고 있다. 대구시가 추진하는 트램의 연결 상황에 따라 대중교통으로서의 기능이 획기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는데 관심이 모아진다.

트램 1량은 승용차 174대, 버스 3대의 수송 능력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친환경 고효율 교통수단이다. 철도의 정시성과 버스의 접근성을 동시에 갖고 있으며 어르신과 장애인 등 교통 약자의 탑승 또한 편리하다. 또 가로변 상권의 활성화와 관광 명소화 등 도심재생 효과도 노릴 수 있는 매우 효과적 교통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트램의 노선이 기존의 시내버스 노선과 불가피하게 겹칠 수밖에 없는 등 오히려 교통 혼잡을 부채질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세밀한 준비가 없으면 하지 않은 것만 못할 뿐 아니라 시민의 불편을 초래할 수도 있다. 대중교통체계의 전면적 개편이 불가피한만큼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필수다. 대구신공항 이전사업에서 경험한 것처럼 주민을 이해시키는 사회적 동의가 필요한 것이다.

특히 많은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는 사업으로 정부의 지원도 꼭 챙겨야 한다. 이번 공모사업에는 부산, 인천, 수원, 대전, 울산 등 전국 다수의 도시들이 경쟁도시로 나서고 있다고 한다. 전국 최초의 지상철 개통에 이어 트램도시를 지향하는 대구의 획기적 교통체계 구축을 위해 대구시의 지혜가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