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희룡서예가
▲ 강희룡 서예가

조선 중기 문신이며 구국의 문장가인 이정귀(1564~1635) 선생은 그의 문집인 ‘월사선생집’에 ‘학질을 쫓아 보내는 글’(送<7627>文)을 실었다. 내용은 ‘나라는 반드시 스스로 친 뒤에 외부적이 치고, 사람은 반드시 스스로 해친 뒤에 사기가 와서 해친다.’이다. ‘학을 뗀다.’라는 우리말이 있다. 어떤 일에 시달려 기력이 다 소진되고 질리게 되어 거의 죽음에 이르는 상황을 겪었을 때 하는 말이다. 학은 학질을 가리키는 말인데, 한 번 걸리면 증상이 워낙 지독하여 잘 떨어지지 않는 아주 몹쓸 병이기에 이 말이 생긴 것이다. 이정귀가 이 병에 걸려 3년째가 됐을 무렵 병의 증상이 한여름에 두터운 겨울 외투를 입고도 화로를 끼고 살아야 할 지경이고, 추운 날 얼음물을 마시고도 갈증을 호소하며 등에는 식은땀이 흐르고 다리는 움직이지 않아도 떨린다 했다. 이 때문에 승승장구하던 벼슬살이도 접은 터라 마침내 학귀(<7627>鬼·학질귀신)를 불러 전별의 잔을 건네며 사정하기에 이른다. 이정귀가 말하길, ‘혼백이 달아나 마치 미치광이나 바보와 같고 마음이 두렵고 어수선해 날로 기운이 쇠진해지도록 만든 것은 모두 그대의 짓이다. 나에게 무슨 원한이 있기에 이토록 괴롭히는가. 또한 무슨 미련이 있기에 이토록 오래 머물고 있단 말인가. 부디 머뭇거리지 말고 어서 번개와 바람을 타고 훌쩍 날아가 달라.’라고 간곡히 부탁했다.

그러자 학귀가 응답하는데, ‘무릇 나무가 썩으면 날짐승이 모여들고, 고기가 썩으면 벌레가 생기며, 나라는 반드시 스스로 자기를 친 뒤에 외부의 적이 와서 치고, 사람은 반드시 스스로 자신을 해친 뒤에 외부의 사기(邪氣)가 와서 해치는 법이라오.’하면서 그(학질)가 들어온 이유를 조목조목 짚었으니 평소 음식과 거동을 함부로 한 것, 근심과 사념으로 기력을 해친 것, 초상을 치르느라 극도로 몸을 훼손한 것 등과 명리의 굴레를 쓰고 벼슬에 연연한 것을 특히 강조했다. 당시 학질을 앓고 있는 것은 조정도 마찬가지였다. 7년간 이어진 왜란의 와중에서 온 나라가 온전할 리가 없었다.

조선조를 통해 보면 임금으로 인해 국가가 학질에 걸린 사례는 폭군으로 정리되는 연산군 시대이다. 조선 최초의 두 번의 사화(士禍)를 일으켜 수많은 신하들을 도륙하다 결국 중종반정으로 폐왕된 그는 연산군으로 강봉돼 폐위된지 두 달만에 역병으로 죽었다고 실록에는 기록하고 있다. 이후 50년은 사화라는 유혈극이 잇따라 일어나 선조 이후 정치 세력들이 붕당으로 갈라지는 계기가 되었으며, 당파로 인해 국력은 소진됐으며 임진, 병자 등의 국난으로 국운은 쇠퇴했다. 또 한 사례는 선조이다. 임금이 당파에 휘둘려 사리판단이 분명하지 못하고 옳고 그름을 구분하지 못해 결국 나라를 환란으로 몰아넣어 초토화시킨 민족의 슬픈 역사를 만든 것이다. 스스로 홀대해 지키고 보존하는 데에 우선 힘쓰지 않는다면 갖가지 재난은 물론 외적의 침입까지 받게 된다. 이 모든 것은 자중지란으로 생기는 것이다.

지금 우리 사회가 앓고 있는 학질의 대표적인 사례 하나가 사립유치원의 비리이다. 국가에서 사립 유치원에 지원금을 사사로이 부정사용하다 적발됐다. 명품구입부터 아파트관리비까지 심지어 성인용품점에서까지 사용한 내역도 있어 국민들에게 충격을 주고 있다. 더구나 한 곳이 아니라 전국의 비리유치원 명단이 공개되면서 총체적으로 비리가 만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하나의 학질은 이번 국감에서 드러난 고용세습과 채용특혜이다. 청년 실업자 수가 40만 명에 육박하는 지금의 현실에서 고용세습이란 희대의 병폐는 취업을 원하는 젊은이들의 출발선을 애초에 다르게 설정하고 말았다. 학질은 이미 사라진 병이지만 이러한 사회적 병폐를 단단히 고치지 않고서는 국가발전은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