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으로 혹독한 피해를 입었던 경북지역의 지진 대비책이 여전히 미흡한 수준에 있음이 국감에서 드러났다.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박완수(창원) 의원이 경북도의 내진율 현황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주거용 건축물의 내진율이 4.77%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경북지역 주택 100채 중 95채가 지진에 견딜 수 없는 구조물인 것으로 판명된 것이다.

이밖에도 학교 등 교육시설물 3천660동 가운데 15.6%인 571동만 내진 설계가 적용됐고 종교시설도 1천338동의 14.7%인 197동만 내진 설계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도로, 교량, 터널 등 특별관리가 필요한 1종 시설물에 대한 내진 성능평가에서 14개의 시설물이 NG(No Good) 판정을 받았다고 한다.

경북지역은 2016년 경주지진과 2017년 포항지진이 발생한 우리나라 유일의 지진 피해를 경험한 도시를 갖고 있는 곳이다. 어느 광역단체보다 지진에 대비한 준비와 노력이 있어야 하는 이유다. 경북도 국정감사에 나선 더불어민주당 임종성 의원의 지적처럼 두 차례 아픔을 경험한 경북의 지진 대비가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친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해당 자치단체들이 이에 대한 어떤 대비책을 갖고 있는지 모르나 당장 지진이 발생한다면 경북지역은 심각한 상황에 처할 것이 분명하다.

경주와 포항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은 1978년 우리나라에서 지진을 관측한 이래 최대 규모의 강진이었다. 피해 정도도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경험하는 것들이 많았다.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부산의 지하철이 잠시지만 멈춰 섰고 월성원자력 발전시설이 가동을 일시 중지했다. 불국사 대웅전 지붕 등 문화재 파손과 주민들의 지진 불안감도 처음 겪는 일이었다.

포항에서는 더 큰 피해가 발생했다. 500억 원이 넘는 재산 피해와 1천300 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학교 건물과 아파트 건물의 파손이 잇따랐고 지진으로 인한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

한국도 이젠 더 이상 지진 발생에서 안심할 수 없는 지역임이 입증된 셈이다. 그런데도 아직 이에 따른 대비책 없다는 것은 행정의 무사안일이나 다름없다. 이제라도 서둘러 지진에 대비하는 내진 보강 작업에 나서야 한다. 건축법의 개정으로 단독주택이 내진설계 대상으로 포함됨으로써 주거용 건물의 내진율이 떨어진 측면도 있다. 그러나 이곳에서 대형 지진이 두 차례나 발생했는데도 전국 평균에 못미치는 지진 대비라면 문제가 있는 것이다.

지진에 대비하려면 예산이 들게 마련이다. 정부도 경북지역의 지진관련 예산은 과감하게 지원해야 한다. 지진방재연구원과 같은 관련기관의 설립에도 아낌없는 지원이 있어야 한다. 지진의 문제는 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우리나라 전체의 문제라는 인식이 있어야 한다. 유비무환의 정신이 있어야 한다.